뉴스 트렌드 생활정보 International edition 매체

[사설]안보리 이사국에 걸맞은 ‘외교 체질’ 갖출 때

입력 | 2012-10-20 03:00:00


한국이 그제 미국 뉴욕에서 열린 유엔총회에서 2년 임기(2013∼2014년)의 안전보장이사회 비상임이사국에 선출된 것은 의미 있는 외교적 승리다. 한국은 2001년 유엔총회 의장국을 지냈고 2006년에는 반기문 사무총장을 배출했다. 1996∼1997년에 이어 16년 만에 이뤄진 안보리 진출로 한국은 유엔 주요국가의 위상을 굳혔다.

안보리는 국제질서와 평화를 저해하는 행동에 대해 무력 사용을 포함해 전 회원국에 기속력(羈束力)을 갖는 제재를 할 수 있는 유일한 국제기구다. 1950년 북한의 남침에 대응한 유엔군 파병 결의를 시작으로 2006년과 2009년 북한의 핵실험과 장거리 미사일 발사에 대한 제재 결정을 내린 곳도 안보리였다. 이사회소집요청권이 있는 국가가 된 만큼 우리의 안보와 직결되는 북한의 핵개발과 군사적 도발을 주도적으로 저지하는 데도 큰 도움이 될 것이다.

전 세계 149개국이 아시아 대표로 한국을 지지한 것은 세계 경제 10위권 국가로서 국제평화와 안보를 위해 적극적으로 리더십을 발휘해 달라는 주문이다. 평화위협의 주체가 다양해지고 난민 환경문제처럼 국경을 초월한 과제가 빈발하는 국제질서 속에서 초(超)강대국이라 해도 혼자 해결할 수 없는 일이 많아지고 있다. 한국도 동북아는 물론이고 중동 아프리카 등 지구촌의 분쟁 해결을 위해 발언권을 행사하고 해결책을 제시해야 한다.

제2차 세계대전 직후 주요 5개국(P5)에 거부권을 부여한 안보리 상임위에 대한 불만의 소리도 높아지고 있다. P5는 리비아 사태 당시 ‘국민보호책임(R2P)’ 원칙을 적용해 군사적 개입을 주도했지만 각국의 이익이 첨예하게 대립된 시리아에 대해서는 수십만 명의 민간인이 희생되는 대량학살이 2년 가까이 진행되고 있는데도 뾰족한 해결책을 내놓지 못하고 있다. 유엔이 회원국의 이익을 초월해 세계 평화의 수호자가 될 수 있도록 안보리 개혁 논의에도 적극적으로 나설 필요가 있다.

복잡다기한 현안을 다양한 채널을 동원해 해결하는 다자(多者)외교 시대에는 국력에 못지않게 외교관 개개인의 능력이 중요하다. 안보리 이사국 진출을 계기로 우리 외교관들도 세계무대에서 주역이 되기에 충분한 역량과 체질을 갖추도록 진력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