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애 위한 말말말… 거짓말 향연 안됐으면
국민의 선택을 받기 위해 대선후보들은 모든 구애활동을 벌인다. 그래서 최대 권력이 걸려있는 대선은 거짓말의 향연이 되기도 한다. 제1차 세계대전이 발발하고 미국의 참전이 대선의 최대 이슈로 떠오르자, 우드로 윌슨은 절대로 참전하지 않겠다고 약속했다. 국민은 그를 믿고 대통령으로 뽑았다. 그러나 반년도 되지 않아 윌슨은 독일에 선전포고했고, 국민은 배신당했다. 프랭클린 루스벨트도 1940년 대선에서 똑같이 약속했다. 그러나 그때 그는 국민의 등 뒤에서 참전 준비를 하고 있었고, 결국 미국의 아들들을 세계대전의 포화 속으로 내보냈다. 그의 말은 거짓말이었다.
대선후보들은 총리에게 헌법이 보장한 국무위원 임명제청권과 해임건의권을 실질적으로 보장하겠다고 외친다. 단언하건대, 이는 거짓말이다. 제왕적 대통령제의 폐해를 줄이기 위해 노력하겠다는 약속 역시 거짓말이다. 우리는 헌정시스템이 변하지 않는 한 권력자가 일하면 일할수록 제왕적 대통령제가 더 가속되는 메커니즘 속에 있기 때문이다.
대선후보들은 ‘한국형 뉴딜’이나 ‘스마트 뉴딜’을 추진하겠다고 한다. 그러나 미국사학자들은 뉴딜이 대공황에서 미국 국민을 구원하는 데 실패했다고 입을 모아 평가한다. 미국에서 실패한 뉴딜을 환생시켜 도대체 어떻게 하겠다는 것인가. 올바른 역사인식이 없는 것은 여야 후보 모두 마찬가지다.
그래서 대통령제를 창안했던 미국인들은 선거유세를 달갑게 생각하지 않았다. 에이브러햄 링컨도 대선기간 내내 집에 머물며 이렇다할 연설을 하지 않았다. 수만 명의 지지자들이 찾아왔건만, 링컨은 지금껏 했던 연설들을 보면 거기에 자신의 입장이 모두 있다고 몇 마디 했을 뿐이다.
정보의 시대에 사는 우리가 링컨의 시대로 되돌아갈 순 없다. 문제는 거짓말하는 대선후보를 응징하는 시스템이 있느냐 하는 것이다. ‘새로운 세금은 없다’고 약속했던 조지 부시는 결국 재선에 실패해 거짓말의 대가를 치렀다. 대통령에게 책임을 지울 수 없는 우리의 헌정체계 속에서는 대선후보들의 계속되는 거짓말과 최면 언어를 막을 방도가 전혀 없다. 정말 무력한 현실이 아닐 수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