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트렌드 생활정보 International edition 매체

[부산/경남]“일자리가 없어” 부산 청년들 떠난다

입력 | 2012-12-11 03:00:00

11년간 평균 순유출률 2%… 7대도시 가운데 가장 높아
대학졸업 10명중 4명 떠나




부산지역 청년층 인재 유출이 7대 도시 가운데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좋은 일자리를 찾아 인재들이 떠나면서 지역발전 성장잠재력도 떨어진다는 지적이다.

한국은행 부산본부와 부산대 김기승 교수(경제학과)는 최근 공동으로 조사한 ‘부산지역 청년층 인재 유출 현상과 정책과제’를 10일 발표했다.

이 자료에 따르면 부산은 전체 연령층에서 2000∼2011년 평균 순유출률이 1.0%로 나타났다. 그러나 청년층에서는 2.0%로 7대 도시 중 가장 높았다. 인구 유출 심각성 정도를 평가하는 OUTPL지수에서도 부산지역은 전체 연령층이 2001∼2011년 평균 ―0.1, 청년층이 ―0.6으로 7대 도시 중 가장 낮았다. 인구 유출이 다른 도시에 비해 많고 심각하다는 뜻이다.

부산지역 대학 출신의 지역 잔존율은 2009년 기준 61.5%로 10명 중 6명 정도만 지역에 잔류하고 4명은 다른 지역으로 이동했다. 이는 수도권(92.3%)은 물론이고 울산(64.3%), 경남(73.0%)에 비해서도 낮은 수준이다. 특히 고졸 인력의 대학 진학을 위한 이동에서도 지역 잔존율이 63.6%로 수도권(81.2%)을 크게 밑돌았다.

청년층 인재 유출은 지역 경제에도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 지역 인재 유출에 따른 소비유출이 699억 원(2011년), 생산유출은 1675억 원으로 추정됐다. 총생산성을 약화시키는 외부효과는 213억 원으로 나타났다.

전체적인 경제적 유출효과(종합수지효과)를 중복계상의 우려가 있는 소비효과를 제외한 생산효과 및 외부효과로 따질 경우 2006∼2011년에 1577억∼1975억 원으로 분석됐다. 이는 매년 지역내총생산(GRDP)의 0.3∼0.4% 수준이다. 청년들이 지역을 떠나면서 인적자본이 축적되지 않고, 지역경제 성장속도에도 상당한 영향을 주고 있는 것.

지역 청년층 인구 유출 요인으로는 임금과 근무여건 등으로 조사됐다. 2002년 대졸자를 기준으로 부산지역 대졸자 평균 연봉은 서울지역 대졸자보다 약 500만 원 낮았다. 이러한 임금격차가 청년층 인구 유출을 포함해 사회 전반에 걸쳐 수도권 집중 현상을 심화시키고 있는 요인으로 지적됐다.

조사팀은 청년층의 지역 정착을 유도하기 위해서는 고용창출 효과가 높은 서비스업을 고도화하고 질 좋은 고급 일자리를 만들어야 한다고 주문했다. 지역으로 이전할 금융기관과 해양 연구기관, 영화영상기구 등 공공기관들이 지역 인재를 고용하도록 하는 것도 하나의 방안으로 꼽았다. 또 고급 인적자원을 위한 별도의 정보관리 및 중개시스템 구축, 경영진들의 우수 인재 확보를 위한 과감한 투자도 대책으로 제시됐다. 지역 기업과 대학 간 산학협력을 통한 수요자 중심의 교육프로그램 확대, 지역 산업 수요에 부응하는 대학의 고급인력 양성을 위한 기술혁신 지원 등도 지적됐다. 한국은행 부산본부 정민수 과장은 “지역사회만의 노력으로 청년층 인구 유출 문제를 해결하기는 어렵다”며 “정부의 수도권 집중 완화 의지 등 지역 발전정책이 함께 추진돼야 한다”고 말했다.

조용휘 기자 silent@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