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진표 노준형 최중경 등 前現정부서 고위직 승승장구관가 조직개편 맞물려 관심
역대 인수위 파견자 중 새 정부 출범 뒤 장·차관 등 고위직에 임명되며 승승장구한 선례가 많아 인수위 파견자로 선발되는 것은 공무원들에게 ‘출세의 보증수표’로 받아들여진다. 인수위로 파견된 공무원들은 정부 출범 전 새 정부의 ‘실세 중 실세’로 활약할 인수위원들과 손발을 맞추며 향후 5년간 국정의 밑그림을 같이 그리게 된다. 그만큼 새 정부의 철학과 국정과제를 누구보다 깊이 이해하고 몸으로 체험할 수 있다.
노무현 정부 인수위 부위원장을 맡았던 김진표 전 부총리 겸 재정경제부 장관을 비롯해 노준형 전 정보통신부 장관, 최중경 전 지식경제부 장관, 이현동 국세청장, 김동연 기획재정부 2차관 등이 모두 인수위를 거쳐 승진가도를 달렸다.
5년 전 출범했던 이명박 대통령 인수위에 파견됐던 공무원은 총 72명이었다. 주로 국장급이 파견되는 전문위원직에는 35명, 과장급이 대부분인 실무위원에는 38명이 임명됐다. 관례상 인수위 지원 담당부처인 행정안전부와 거시경제·재정을 맡고 있는 재정부가 국장급 2명 안팎을 포함한 총 6∼8명을 각각 파견하고 다른 부처들은 1, 2명 정도씩 파견한다.
인수위가 파견을 요청하면 각 부처는 ‘에이스급’ 공무원을 2, 3배수로 추천하고 이들 중 낙점을 받은 사람이 인수위에 참여하게 된다. 다만 이런 추천은 형식에 불과하다는 평가도 있다. 현 정부 초 인수위에 참여했던 한 경제부처 고위공무원은 “인수위 고위 인사들은 이미 각 부처의 인재 풀을 꿰고 있기 때문에 직접 ‘OOO을 보내 달라’고 콕 찍어 요청하는 게 일반적”이라고 말했다.
일부 공무원은 물밑에서 학연과 지연 등을 동원해 인수위에 참여하기 위해 애쓰는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일부 공무원의 섣부른 행동은 개인은 물론이고 조직 전체에 해가 될 수 있기 때문에 각 부처는 최근 단단히 ‘입단속’을 하고 있다.
이상훈 기자 january@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