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 크루그먼 뉴욕타임스 칼럼니스트
이런 현상은 2012년이 저무는 지금도 되풀이되고 있다. 많은 이들은 재앙이 가까워졌다고 믿고 있으며 언론에도 등장하고 있다. 예언된 재앙이 현실화되지 않았지만 추종자들은 잘못을 인정하려 하지 않는다. 미국에 재정위기가 임박했다고 예언한 사람들도 마찬가지다.
마야 종말론을 말하는 게 아니다. 현재 경제위기의 단계마다, 대량 실업문제를 해결하려고 할 때마다 재정적자부터 당장 줄이지 않으면 금융시장이 미국에 등을 돌려 금리가 치솟을 것이라는 목소리가 끊이지 않고 있다. 이런 비관론은 경제담론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유명한 재정적자 경고론자 중엔 시기를 언급하려 한 사람들도 있다. 2011년 초 버락 오바마 미국 행정부의 재정적자대책위원회 공동위원장을 지낸 어스킨 볼스는 특단의 정책이 없다면 2년 안에 위기를 맞을 것이라 주장했다. 공화당의 앨런 심프슨 전 상원의원은 2년도 안 걸릴 것이라고 맞장구를 쳤다. 그가 말한 2년은 이제 10주 남았다. 하지만 이들이 그때 가서 자신의 실수를 인정할 것으로 기대하지는 않는다.
예언이 틀렸다고 인정하는 재정 비관론자는 거의 없다. 설사 인정하더라도 자성보다는 분노를 보이기 십상이다. 지금도 대가로 칭송받는 앨런 그린스펀 전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 의장은 2010년 “막대한 재정적자에도 불구하고 통화 남발의 대표적 부작용인 인플레와 장기금리는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있다”고 말했다. 하지만 “이는 자만심을 키울 수 있다는 점에서 유감”이라고 덧붙였다.
나를 비롯한 경제학자들은 재정 대재앙의 불길한 경고는 모두 잘못된 판단이라고 주장해 왔다. 경제가 침체기에 있는 한 재정적자는 금리 상승으로 이어지지 않는다. 재정적자를 너무 빨리 줄이려는 시도야말로 경제에 가장 큰 위협이 된다. 작금의 현실이 이를 증명한다.
재정 대재앙 예언자들은 종말론 추종자들과 다를 바 없다. 경제위기가 어느 구석엔가 숨어 있다는 확신에 빠져 있는 그들은 고비를 잘 넘겨도 자신들의 신념을 계속 주장할 것이다. 어떤 증거를 들이대도 이들의 생각을 바꾸거나 설득할 수 없을 것이다. 그렇다면 관심을 기울이지 않는 방법 말고는 없다. 이 또한 쉽지는 않을 것이다. 위기론 추종자들 중엔 존경스러워 보이는 사람들이 많으니까. 하지만 그들은 오랫동안 계속 틀려 왔다. 이젠 진짜로 그들의 얘기에 관심을 꺼야 할 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