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멸하는 인간에 주목… 새로운 존재론 연결
권성우 씨(왼쪽)와 심진경 씨.
최종 경합한 작품은 총 네 편이다. 우선 박범신의 ‘은교’를 타나토스와 에로스라는 두 가지 욕망의 범주로 분석하고 있는 ‘에로스와 타나토스의 이중주’와 언어를 불신하고 소설을 혐오하는 것처럼 보이는 한유주 소설 내면에 들끓는 새로운 언어와 소설에 대한 욕망을 발견하고자 한 ‘의심과 불신의 소설쓰기’. 둘 다 부분적으로 탁월한 분석력이 돋보이기는 하나 지나치게 작가의 의도를 충실하게 따르는 독법 때문에 텍스트라는 한계 안에 갇히고 말았다는 인상을 받았다.
당선 여부를 놓고 마지막까지 고민한 ‘분열증적 탈주에서 생성의 상상력으로’는 윤이형 소설이 제기한 분열에 대한 문제의식을 지금의 문학이 공유하는 불안의식과 연결 짓는 안목이 돋보였으나 분열에서 생명으로 변주되는 분석 과정의 소박함이 아쉬웠다. 당선작은 황정은 소설을 대상으로 한 ‘없음으로서의 유토피아: 언어의 (불)가능성에 대하여’로 결정했다. 황정은 소설의 소멸하는 인간, 탈의미화되는 언어 등을 통해 ‘없음’의 존재론을 발견하고 이를 텍스트 너머에서 새로운 존재론과 연결하고자 하는 비평적 노력이 돋보였다. 당선자에게 축하 인사를 보내며, 아울러 안타깝게 당선되지 못한 응모자들에게도 아낌없는 격려의 박수를 보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