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건축의 본질은 의도 없는 공간 - 오선 없는 악보”
책장만으로 지어 올린 도서관 일본 도쿄 고다이라 시에 있는 명문 무사시노 미술대의 명물인 도서관 외관.
건축가 후지모토 소우의 2009년 작품으로 외부 벽면부터 내부 벽체까지 모두 책장만으로 지어 올려 도서관의 본질적 기능에 충실한
작품이라는 평가를 받는다. 후지모토 소우 제공
《 속이 훤히 들여다보이는 통유리 집, 러시아 마트료시카 인형처럼 방 안에 방 안에 방이 들어앉은 집, 건물 전체가 책장만으로 이뤄진 도서관…. 일본 건축가 후지모토 소우(42·사진)의 작품은 놀란 눈으로 쳐다보는 이들에게 이렇게 되묻는 듯하다. 공간을 안팎으로 꼭 구분해야 해? 외벽은 한 겹이어야 한다는 법이라도 있나? 도서관에 책장만 있음 된 거 아냐? 안도 다다오나 이토 도요 같은 소수의 거장들이 주도하던 일본 건축계가 건축에 대한 고정관념을 걷어치우고 물음표 가득한 작품을 내놓는 이 젊은 건축가 때문에 들썩이고 있다. 일본건축가협회 신인상(2004년)과 대상(2008년), 제13회 베니스 건축비엔날레 황금사자상(2012년)을 휩쓴 그가 자신의 건축 과정을 소개한 건축 노트 ‘건축이 태어나는 순간’(디자인하우스) 한글 번역본을 냈다. 》
홋카이도에서 태어나 도쿄대에서 건축을 배우고 도쿄에서 작업해온 그는 책 출간을 계기로 본보와 가진 e메일 인터뷰에서 “홋카이도와 도쿄가 내 건축관을 만들었다”고 했다. “홋카이도의 산과 숲의 기억은 내 자연관의 근저(根底)가 됐다. 도쿄에 이사 온 다음 느낀 도쿄 거리의 복잡함, 그건 홋카이도 숲의 복잡함과 뭔가 닮았다는 느낌을 받았다.”
그가 도쿄 도심에 지은 ‘도쿄 아파트먼트’(2006년)는 ‘홋카이도가 낳고 도쿄가 키웠다’는 그의 건축관을 고스란히 보여준다. 박공지붕 집을 쌓아 올린 집합 주택인데 각 가구는 집 모양의 2, 3개 ‘방’으로 구성돼 있다. 어떤 가구는 1층과 3층으로 ‘방’이 떨어져 있어 외부로 난 계단으로 이 방 저 방을 옮겨 다녀야 한다. “산기슭과 정상에 하나씩 집을 가지고 있는 것과 비슷한 체험을 할 수 있다. 산을 오르내리는 행위를 통해 산, 즉 도시 전체를 자신의 집이라고 느끼게 된다.”
후지모토는 자신의 건축 작업이 ‘자연의 다양성을 재구축하는 것’이라고 했다. 그래서 그의 작품은 반듯하게 각이 잡혀있지 않고 주변의 지형지물에 따라 이리저리 구부러진다. 자연에 녹아들고 타협하는 ‘약한 건축’, 전체 질서가 아니라 부분과 부분 사이의 작은 질서를 쌓아가는 ‘부분 건축’이다.
그는 문화예술 평론가인 야스다 요주로가 일본의 길에 대해 언급한 말을 인용해 약한 건축, 부분 건축이라는 개념을 설명했다. “로마의 길은 자연과 인공물의 온갖 장애를 넘어 일직선으로 연결돼 있다. 이는 강하고 거대한 방식에 의해 생성된 것이다. 그에 비해 일본의 길은 산과 맞닥뜨릴 때마다 구부러지고 계곡과 만날 때마다 돌아간다. 구불구불 구부러지며 전진하는데 여기에는 로마의 길과 같은 강인함은 없지만 그렇다고 질서가 없다고는 할 수 없다. 오히려 자연의 탄생 과정과 닮은 완만한 질서가 있다.”
무사시노 미술대 도서관 내부. 내부 벽체 전체가 책장이다. 후지모토 소우 제공
후지모토의 건축관은 ‘건축이란 무엇인가’라는 질문을 던져 얻은 답이다. 그가 인터뷰에서 가장 많이 사용한 단어는 ‘본질’이었다. 건축의 본질에 천착하게 된 계기는 불황이었다. 건설경기가 얼어붙어 번듯한 건축사사무소에서 실무를 배울 기회를 잃은 또래 건축가들은 홀로서기를 하며 건축 언어를 스스로 만들어내야 했다. “불경기니까 오히려 사회에 필요한 건축이란 무엇일까, 본질적인 질문을 스스로 던지게 된다. 이런 상황에서 혁신적인 생각이 떠오른다.”
책장만으로 지어낸 무사시노 미술대 도서관(2009년)은 건물의 본질적 기능에 충실한 작품이다. 책장이 벽처럼 소용돌이 모양으로 휘감아 들어가는데 외부 벽면부터 내부 벽체까지 몽땅 책장이다.
2011년 동일본 대지진은 건축의 본질을 무섭게 묻는 사건이었다. 후지모토는 당시 “건축가인 내가 무엇을 할 수 있을까. 건축이 필요하기나 한 걸까. 건축이 가능하기나 한 걸까 한동안 멍했다”고 토로한 적이 있다.
“건축이 사회에 본질적으로 어떤 역할을 해야 하는 걸까. 여러 가지 생각을 했다. 자연과 인공물의 관계에 대해, 미래의 도시와 건축에 대해서도 깊게 고찰하게 됐다.”
후지모토는 현재 중국 상하이 현대미술관, 300m짜리 대만 타워를 포함해 세계 곳곳에서 30개가 넘는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홋카이도와 도쿄의 자연과 인공에 발을 딛고 ‘건축은 무엇인가’를 묻고 또 묻는 젊은 건축가가 어떤 답을 내놓을지 세계가 주목하고 있다.
이진영·노지현 기자 ecolee@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