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9월 센카쿠 갈등 커지자… 해양권익 지도소조 만들어국가안전보장 대응 진두지휘
4일 아사히신문은 중국은 시 총서기를 조장으로 하는 ‘중국공산당중앙해양권익유지공작지도소조’를 만들어 센카쿠 영유권 분쟁뿐만 아니라 대만 등 국가 안전보장과 관련된 위기관리를 총괄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시 총서기가 중국판 NSC를 만든 것은 작년 9월 일본의 센카쿠 열도 국유화 발표 직후 군과 해양당국 등 정부 각 부문이 제각각 대응에 나서 혼선을 빚은 데 따른 것으로 알려졌다.
소조 부조장은 다이빙궈(戴秉國) 외교 담당 국무위원이 맡고 있고 조원으로는 군 총참모부와 국가해양국, 외교부 간부들이 참여하고 있다. 조원들은 무선과 화상전화로 직접 현장의 감시선과 부대에 진입 명령을 내리는 한편으로 현장에서의 마찰이 우발적 충돌로 이어지지 않도록 제어하는 역할도 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중국은 작년 9월 이후 센카쿠 주변 접속수역에 총 97일간 연 462척의 정부 선박을 진입시켰고 일본이 주장하는 영해에는 25일간 진입했다. 다만 진입 빈도는 작년 11월을 기점으로 줄고 있다. 지난달 25일 야마구치 나쓰오(山口那津男) 일본 공명당 대표가 중국을 방문해 시 총서기를 만난 이후에는 소강 국면이 이어지고 있다. 중국군도 올해 초 기관지인 해방군보에서 “전쟁 준비를 하라”고 촉구했으나 최근에는 “중국이 먼저 해상 분쟁을 일으키는 일은 절대로 없다”고 태도를 바꾸고 있다.
한편 센카쿠 열도를 관할하는 오키나와(沖繩) 현 이시가키(石垣) 시는 센카쿠를 세계문화유산에 등록시키는 방안을 정부에 요청하기로 했다고 산케이신문이 보도했다.
일본 정부는 현재 가고시마(鹿兒島) 현 아마미(奄美) 군도와 오키나와 현 류큐(琉球) 제도 일대를 잠정 후보지 명단에 올려놓고 있다. 내년에는 유네스코에 추천서를 제출해 2016년 최종 심사를 받을 계획이다.
도쿄=배극인 특파원 bae2150@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