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용석 산업부 기자
정부는 새 성장동력이 필요할 할 때마다 기술과 시장의 발전을 예측해 국가전략을 세우고 연구개발(R&D) 투자를 주도해 왔다. 노무현 정부의 ‘10대 신성장동력’이나 이명박 정부의 ‘녹색성장’ 같은 정책 브랜드가 그래서 나왔다. 하지만 이렇게 해서 일자리가 많이 나왔다는 성공담은 쉽게 찾아보기 어렵다. 정부가 10년 전 신성장동력으로 꼽고 투자도 많이 한 지능형 로봇산업을 보자. 지금 로봇 덕분에 일자리를 얻었다는 사람이 주변에 얼마나 되나.
#장면 2.
새 정부의 화두인 창조경제를 어떻게 풀어낼지에 대해 기자와 인터뷰한 여러 전문가들은 ‘절대로 정부가 창조경제를 예측하고 주도하려 들지 말라’고 조언했다. 정부가 R&D 과제의 경중(輕重)을 판단해 예산을 배분하는 일을 되풀이한다면 창조경제는 5년 뒤 헛된 구호로 남을 수밖에 없다는 것이 이들의 공통된 의견이었다.
▶본보 1일자 A5면 “정부 주도 R&D로는 필패… 일반인 참여 I&D 꽃 피워야”
정부가 주도하는 창조경제에서는 ‘정부와 손발을 잘 맞춰 예산을 따오는 연구자’나 ‘성과 잘 내는 대기업’이 득세할 가능성이 높다. 이들의 창조는 예산을 따내기 위한 제안서를 쓸 때나 정책 성과를 그럴싸하게 포장하는 보고서를 만들 때 주로 발휘될 뿐이다.
대신 개인이나 중소기업 등 누구나 좋은 아이디어만 가지고 있으면 쉽게 성공할 수 있도록 특허를 보호하고 기술거래나 벤처기업 인수합병(M&A)을 활성화하는 데 정부가 힘을 쏟아야 한다는 조언이 많았다. 창조의 가치를 보호하고 키워내는 창조경제의 성공 기반 만들기에 매진하라는 얘기다.
김용석 산업부 기자 nex@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