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지만 진짜 위대한 히트상품의 덕목은 세대와 계층을 초월하는 보편성 아닐까. 상품 출시 초기 폭발적 수요를 창출하다가도 1년도 안 돼 존재감을 상실하는 물건은 수없이 많다. 시대 영합적인 반짝 인기를 누린 것만으로는 히트상품 ‘명예의 전당’ 헌액(獻額) 자격을 얻을 수 없다. 1963년 처음 나온 뒤 지난해 말까지 173억 병 이상을 판 박카스나, 100년 넘는 기간 동안 83억 병을 판 동화약품의 부채표 활명수 정도는 돼야 한다. 국내시장은 물론 러시아, 중국을 석권하고 북한 개성공단 근로자를 매료시킨 초코파이도 다툼의 여지가 적은 최고 히트상품이다.
▷진정한 의미의 시장의 존재가 미미한 북한에도 히트상품은 있다. 문제는 북한에서 어떤 상품이 날개 돋친 듯 팔리는지를 증명할 공신력 있는 지표가 없다는 점이다. 장마당 형태로 존재하는 시장 관련 정보와 북-중 접경지대에서 활동하는 상인 또는 탈북자들의 입을 통해 흘러나오는 이야기를 종합해 짐작할 수 있을 뿐이다. 삼성경제연구소 동용승 연구전문위원은 2010년부터 북한 10대 히트상품이라는 틀로 북한의 변화에 대한 설명을 시도하고 있다. 2010년엔 송이버섯과 꽃게 등이 꼽혔다. 핵실험과 미사일 발사, 천안함 폭침으로 대외수출 판로를 잃은 북한 당국이 비교적 저렴한 가격에 시장에 두 물건을 내놓아 일반 주민들이 혜택을 봤다니 아이러니다. 2011년 히트상품엔 휴대전화, 휴대용 저장장치(USB메모리)가 떴단다. 한국 드라마 보급에 혁혁한 공을 세웠다는 후문이다.
하태원 논설위원 triplets@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