핵실험 이후 북 관영매체 ‘1호 사진’ 추적…삼각 대형 경호 동선 의도적 노출
대를 이은 근접 경호원 ‘A’
국가 최고지도자가 된 박 대통령 사진에서도 계속 경호원 모습을 보게 될까. ‘동아일보’ 청와대 출입 사진기자인 안철민 차장은 “경호원은 사진에 보이지 않는 것이 원칙이다. 보이는 것은 어쩔 수 없지만, 가능한 한 경호원을 사진에서 제외하고 찍으려 한다”고 말한다. 전두환 전 대통령부터 노무현 전 대통령까지 청와대 경호실에서 25년간 근무한 이두석 우송정보대 경호·법무과 교수 역시 “‘은밀 경호의 원칙’ 때문에 경호원은 얼굴을 잘 드러내지 않는다”고 말한다. 사진 찍는 기자도, 사진 찍히는 경호원도 대통령을 촬영한 사진 속에서 경호원이 드러나는 것을 바라지 않는 것이다.
영상문화의 특성을 간파했던 아버지 김정일 전 국방위원장 때와 마찬가지로 김정은 조선노동당 제1비서의 현지지도 사진은 ‘깊은 초점’ 기법으로 촬영하는 것이 원칙이다. 망원렌즈를 이용해 지도자만 부각해 촬영하는 ‘얕은 초점’ 기법이 김정은 시대에 나타나긴 했지만, 이는 전체 사진에서 5%도 되지 않는다. 카메라 가까이 있는 피사체에서부터 멀리 떨어진 피사체까지 모두 초점이 맞아 화면에 선명하게 나타나도록 촬영하는 기법인 ‘깊은 초점’은 흔히 화면 내 모든 피사체가 평등한 관계인 것처럼 연출할 필요가 있을 때 사용한다. 다만 북한은 최고지도자 개인의 신체뿐 아니라, 그가 서 있는 배경까지 다 보여주려는 의도에서 ‘깊은 초점’ 기법을 선호한다. 화면 앞과 중간, 뒷부분까지 선명하게 보이는 촬영 기법을 선호하다 보니 북한 사진은 여러 가지 사실을 노출하곤 한다.
3차 핵실험으로 국제 사회를 긴장하게 만든 김정은 제1비서는 2월 28일 전직 미국 프로농구 선수 데니스 로드먼을 평양으로 초청해 함께 친선경기를 관람했다. 관중에게 손을 들어 인사하는 김정은 제1비서 뒤로 남성 2명과 여성 1명이 박수를 치지 않고 걸어간다(‘사진1’ 원 안). 이들은 각각 김정은 제1비서와 아내 이설주의 근접 경호원이다. 김정은 제1비서의 현지지도 사진에서 경호원을 찾는 것은 어렵지 않다. 즉, 해당 부대나 공장 간부들과는 연령대가 차이 나고, 메모를 위한 수첩도 들고 있지 않으며, 눈을 부릅뜬 채 주눅 들지 않은 표정으로 서 있는 젊은 군인 또는 정장 차림의 젊은이가 경호원들이다. 때로는 이어폰을 꽂고 있기도 하다. ‘사진1’ 속 여성처럼 카메라를 발견하고 고개를 돌리는 행동도 경호원의 특징이다.
2012년 1월 김정은이 최고지도자 자리에 오른 이래 가장 많이 노출된 경호원은 ‘사진1’ 속 왼쪽 남성이다. 180cm 정도 키에 짧은 헤어스타일을 한 이 남성은 김정은 제1비서의 근접 경호를 맡은 것으로 보인다. 그를 편의상 ‘A’라고 부르자. A는 원래 김정일 전 국방위원장, 정확히 말하자면 건강 이상설이 불거진 이후 김정일 위원장을 경호하던 인물이다. A가 북한 매체에 등장한 것은 2008년 11월 5일이다. 건강 이상설 이후 처음 공개된 김 위원장과 군인들의 단체사진에서 김 위원장 바로 옆에 A가 서 있다. 카메라를 최대한 피하면서 소기 목적을 달성해야 하는 경호원의 업무 특성을 고려한다면, 기념사진에 등장한 A는 특별한 존재로 인정받은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이후 김 위원장 옆에서 걷거나 우산 또는 양산을 들어주는 A 모습(‘사진2’)이 포착됐고, 김 위원장의 중국 방문에도 동행했다. A는 김 위원장 사망 후 김정은 제1비서의 근접 경호를 수행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흐름에 최근 중대한 변화가 생겼다. 최근 공개한 사진들에서 경호원 모습이 예전과 다른 형태로 나타난 것이다. 특히 2월 13일 3차 핵실험 이후 이런 현상이 두드러졌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먼저 얼굴을 드러내는 경호원 수가 늘어났다. 사진을 트리밍(불필요한 부분을 잘라내는 작업)하는 과정에서 경호원을 숨기려는 노력을 하지 않은 채 그대로 외부에 노출하는 것이다. ‘조선중앙통신’은 2월 21일 김정은 제1비서가 인민군 323군부대를 시찰했다며 사진을 공개했다. 핵실험 후 첫 현지 시찰로, 군부대를 방문한 이 사진(‘사진4’)에서 근접 경호원 3명 얼굴이 그대로 드러나 있다. 장교들과 구별되는 일반 전투모를 쓴 젊은 경호원 3명이 뒷줄에서 함께 걷는 모습이다. 3명 얼굴이 분명히 보인다는 점에서 이전과는 확연히 다르다.
내부 경각심과 결속력의 상징(?)
다음으로 경호원들이 무장을 강화한 점도 확인할 수 있다. 김정은 제1비서 바로 옆에 소총과 칼을 찬 경호원이 등장한 것이다. 김정은 제1비서에 대한 경호는 최소 2단계 이상의 저지선으로 이뤄진다(‘사진10’). 먼저 A처럼 권총을 찬 채 김정은 제1비서의 바로 옆을 따라다니는 제1선 경호원은 군복 위에 천으로 만든 전투모를 착용하거나 양복을 입는다. 그리고 김정은 제1비서와 수십 미터 이상 떨어진 곳에서 자동소총으로 무장하고 방탄용 헬멧을 쓴 2선 또는 3선 경호원이 있다. 이들은 용도를 알 수 없는 철제가방을 등에 멘 채 항상 김정은 제1비서 시선과는 다른 방향을 응시한다.
그동안 자동소총 또는 유탄발사기는 외곽 경호원들만 소지했다. 하지만 최근에는 근접 경호원들까지 자동소총과 칼로 중무장한 채 현지지도를 수행하는 것으로 확인된다. 위협적으로 보일 수 있는 이런 모습은 분명 이전과는 확연히 다르다. 2월 23일 공개한 사진(‘사진6’)에서 김정은 제1비서 바로 뒤 경호원은 자동소총을 멘 채 걷고 있다. 밀착 경호를 하면서 권총이 아닌 자동소총을 들었다는 점이 특이하다. 2월 26일 공개한 사진(‘사진7’) 속 오른쪽 군인은 왼쪽 귀에 이어폰을 꽂았고, 자동소총 외에 단검을 허리에 찬 모습이 선명하게 보인다.
김정일 위원장 시대에는 경호원이 거의 보이지 않았고, 그나마 건강 이상설 이후 A가 많이 목격되는 정도였다. 김 전 위원장과 달리 김정은 제1비서는 권력 1인자로 등극한 2012년 1월부터 근접 경호를 받는 모습이 가끔 목격됐지만, 개인화기로 무장한 복수의 경호원이 한꺼번에 사진에 노출된 것은 분명 이례적 일이다. 북한이 의도적으로 외곽 경호팀 존재를 부각하고 있다거나, 현저하게 늘어난 경호팀을 피해 사진을 촬영하는 게 어려워진 때문이라고 추론할 수 있다.
3차 핵실험 이후 김정은 제1비서에 대한 경호를 실제로 강화했다는 주장이 있다. 신인균 자주국방네트워크 대표는 “최근 김정은 제1비서가 현지지도를 할 경우 장갑차를 평양 시내에 배치한다는 첩보가 있는데, 김정은 제1비서 경호원들의 무장 정도가 강화된 것은 이러한 북한 내부 상황과 무관치 않아 보인다”고 말했다. 김용현 동국대 북한학과 교수는 “키리졸브 한미합동훈련 등에 대한 북한 측 대응으로 볼 수 있으며, 북한 내부에 경각심과 결속력을 강조하기 위한 상징으로도 해석할 수 있다”고 말했다.
변영욱 기자는 북한 언론이 김일성 주석과 김정일 국방위원장을 찍은 ‘1호 사진’을 분석해 2007년 북한대학원대학교에서 석사학위를 받고 2008년 ‘김정일.JPG’(한울)를 펴냈다.
1 2월 28일 김정은 조선노동당 제1비서가 평양 류경 정주영체육관에서 열린 미국 묘기농구단 ‘할렘 글로브 트로터스’와 조선체육대학 홰불(횃불)농구팀의 혼합경기에 참석, 관중에게 인사하고 있다. 왼쪽 경호원은 2008년 김정일 전 국방위원장이 뇌졸중으로 쓰러졌다 일어난 직후부터 경호원으로 일했으며, 김 전 위원장의 근접 경호를 맡아왔다.
2 2009년 7월 1일 ‘조선중앙통신’은 김정일 국방위원장이 함경남도 함흥반도 체재료공장과 국가과학원 함흥분원을 현지지도했다고 보도했다. 김 위원장을 위해 우산을 펼쳐든 경호원은 앞 사진 왼쪽의 김정은 근접 경호원과 동일 인물이다.
3 2012년 1월 26일 김정은 제1비서가 만경대혁명학원을 방문했을 때 무장 경호원들이 근거리에서 경호를 펼치는 모습. 조선중앙TV 화면을 통해 잠시 흘러가는 모습일 뿐 북한이 사진으로 공개하진 않았다.
4 김정은 제1비서가 인민군 323군부대를 시찰한 모습이라며 ‘조선중앙통신’이 2월 21일 보도한 사진. 계단 맨 위쪽 줄에 서 있는 젊은 군인 3명이 바로 경호원으로, 이들이 쓴 모자는 앞쪽 간부들이 쓴 것과 다르다. 얼굴이 또렷하게 나왔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5 김정은 제1비서가 조국해방전쟁승리기념관을 현지지도하는 모습이라며 2월 22일 공개한 사진. 왼쪽과 오른쪽, 아래쪽에 무장 군인 3명이 보인다. 김정은 제1비서에 대한 경호가 강화됐다는 점을 강하게 드러내는 사진이다.
6 평양 인민무력부 청사 김일성·김정일 동상 앞에서 촬영한 기념사진. 김정은 제1비서 오른쪽으로 경호원이 따라오고 있으며, 멀리에서 무장 군인들이 외곽 경호를 하고 있다. 2월 23일 공개한 사진이다.
7 포병 타격훈련 현지지도 모습을 담은 2월 26일 사진. 포병 옆에 선 무장 군인들은 김정은 제1비서가 현지지도를 할 때 외곽에서 경호를 담당하는 이들이다. 용도를 알 수 없는 원통형 철제가방을 등에 메고, 앞쪽으로는 자동소총을 메고 있다.
8 북한은 배경까지 뚜렷하게 보이는 사진을 선호한다. 저 멀리 점처럼 보이는 포병 사이로 외곽 경호팀 모습이 선명하게 보인다. 인민군 비행훈련과 항공육전병 강하훈련 현지지도를 촬영했다며 2월 23일 보도한 사진이다.
9 2월 22일 ‘조선중앙통신’이 보도한 조국해방전쟁승리기념관 현지지도 사진 속 경호원. 이어폰을 꽂고 단검과 자동소총으로 무장했음을 확인할 수 있다.
▶ [채널A 영상]영화 속 北병사 이미지, 어디까지 사실인가?
▶ [채널A 영상]김정은, 김일성 닮으려 ‘살찌는 약’까지…‘비만’은 집안내력?
▶ [채널A 영상]“평양성서 불량배 포효…” 중국서 ‘北 패러디’ 인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