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트렌드 생활정보 International edition 매체

[먹거리 X파일의 X파일]고발프로 제작진은 괴로워

입력 | 2013-03-30 03:00:00

업체측의 접촉 시도… 계속 피하느라 진땀, 한해 항의방문 50건




27일 오후 ‘먹거리 X파일’ 정회욱 책임PD의 휴대전화는 기자와 만난 30분 동안 6번 울렸다. 일곱 번째 수신음이 울리자 정 PD가 마침내 의자에서 엉덩이를 들었다. “죄송한데 일 때문에 먼저….”

정 PD는 계속되는 회의와, 전국 각지에서 현장을 누비는 취재팀의 보고를 받느라 정신이 없어 보였다. “하루 평균 100통 정도의 전화를 받는 것 같아요. 각 팀에서 취재 상황을 수시로 보고하니 얼마 전엔 자반고등어와 전복죽 취재 보고를 헷갈려 ‘왜 또 전화하느냐’고 호통 친 적도 있죠.”

프로그램 진행자이자 직장 상사인 이영돈 채널A 상무와 40명의 제작진 사이에서 업무를 조율하고 아이템을 최종 선정하며, 취재 내용을 확인하고 추가 취재를 독려하는 것이 그의 몫이다. 정 PD는 “‘먹거리 X파일’ 팀은 채널A의 사회부”라고 했다. 정 PD는 신문으로 치면 ‘시경 캡(서울지방경찰청에 출입하는 사회부 경찰취재팀장)’ 정도 돼 보였다.

제작진 40명은 9개 팀으로 나뉘어 움직인다. 각자 아이템을 잡아 전국으로 취재를 다닌다. 사무실이 가장 붐비는 시간은 매일 오후 11시부터 밤 12시 사이. 현장 취재를 마친 팀원들이 그날 취재 내용을 정리하고 회의를 하는 시간이다. 근무 시간이 길다고 해서 특별히 수당이 많은 것도 아니라는 게 정 PD의 얘기다.

비슷한 고발 프로그램들이 많아진 탓에 아이템 보안이 중요해졌다. 정 PD는 “때로 중요한 아이템을 취재하는 팀에는 제작진 내 다른 팀과도 그 내용을 공유하지 않도록 한다”면서 “이 때문에 같은 아이템을 여러 팀에서 동시에 내놓는 경우도 있었다”고 했다.

‘프로그램 잘 봤다’ ‘방영된 착한식당이 어디냐’는 훈훈한 시청자 의견만 쏟아지는 것은 아니다. 제작진은 항의전화와 내용증명에 노이로제를 넘어 면역이 돼 있다. 정 PD는 “관련 업체의 내용증명 발송과 항의방문이 1년 사이 각각 50건 이상 있었다”고 말했다. “우리 한번 만나서 얘기하자”는 업체 관계자들의 접촉 시도는 주로 이 상무와 정 PD에게 집중된다. ‘취재 중, 방영 전에는 어떤 업체의 누구와도 따로 만나지 않는다’는 게 ‘X파일’의 철칙이다.

취재에 들어가면 먹거리 업체에는 일대 비상이 걸린다. 최근 한 자반고등어 제조업체는 제작진이 취재에 착수하자 대규모 기자간담회까지 열어 위생적인 공정을 설명하기도 했다. 제작진의 취재 결과 문제가 없는 업체로 밝혀졌지만, 업체 입장에서는 노심초사할 수밖에 없다. 업체의 움직임이 감지될수록 취재팀은 더 신경이 쓰인다. 현장 취재를 이중삼중으로 하는 한편 식재료 성분을 정밀 분석하는 데 돈을 아끼지 않는다.

‘X파일’ 팀은 여러모로 ‘전투력’을 키우는 채널A의 스파르타 훈련소 역할을 톡톡히 한다. 가장 힘든 부서로 악명이 높다. “채널A 사내 인사 때 ‘X파일’ 팀으로 발령 나면 ‘군장 메고 들어간다’는 표현을 써요. 군대로 치면 유격훈련 받으러 가는 느낌 정도?”

그렇다면 ‘X파일’에서 다른 팀으로 발령이 나면? “쟤, 전역한다.”

임희윤 기자 imi@donga.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