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청산작업 앞둔 용산개발사업… 서부이촌동 ‘공황상태’
적막… 절망… 9일 찾은 서울 용산구 서부이촌동은 동네 상가들이 대부분 문을 닫아 ‘유령도시’ 같은 모습이었다. 주민들은 “개발지역으로 묶이기 전인 2007년으로 돌아가고 싶다”고 했다(사진 위). 용산 국제업무지구 개발 용지. 땅을 고르는 기초 공사 단계만 진행된 이후 몇 년째 버려져 있다. 김재명 기자 base@donga.com
“영업 안 합니다, 가세요.”
세탁소 주인의 목소리에는 짜증과 무기력함이 배어 있었다. 기자라며 용산 국제업무지구 개발 이야기를 꺼내자 깊은 한숨과 함께 “이 상황에서 무슨 할 말이 있겠느냐”며 말문을 닫아버렸다.
코레일이사회가 개발사업 청산절차를 밟기로 했다는 소식에 ‘공황상태’가 된 주민들의 심경을 반영하듯 9일 서울 용산구 서부이촌동은 적막감만 감돌았다. 2007년 서부이촌동이 용산 국제업무지구 개발지역에 편입되면서 매매거래가 제한되자 부동산 거래가 뚝 끊기고 동네가 활력을 잃은 지 벌써 6년. 부동산중개업소뿐만 아니라 열쇠가게, 에어컨수리점 등 수많은 가게가 간판만 덩그러니 내건 채 문을 닫은 상태였다. 거리 한쪽에서 주민들 서넛이 모여 앞날을 걱정하며 연방 담배연기만 뿜어댔다.
서부이촌동 토박이 김모 씨(49)는 제2금융권 등에서 3억5000만 원을 대출받아 매달 250만 원가량을 이자로 낸다. 의류 납품사업을 하던 김 씨는 지지부진한 주민보상을 해결하겠다며 2008년 초 주민위원회 간부 일을 맡았다. 그해 글로벌 금융위기가 왔고 사업에만 몰두해도 버거웠을 상황이었지만 주민위원회 일을 놓을 수 없었다. 부족한 사업자금을 대출받았다. 빚이 빚을 불러 나중엔 생활비까지 대출받아야 했다.
“대출금 때문에 집을 팔고 싶죠. 2007년 8월 30일 이후로는 집을 사도 입주권이 나오지 않는데 누가 집이나 보러 오나요. 그나마 단 하나 희망은 개발 성공이었는데….”
김 씨는 서부이촌동 주민들의 상황을 대표한다. 지난 6년 동안 집을 팔지 못한 서부이촌동 주민들은 현재 평균 4억 원대의 대출금에 짓눌려 있다. 김 씨는 “곧 공사가 시작돼 이주하게 될 줄 알고 이사 갈 아파트를 마련해 놨다가 하우스푸어(내집빈곤층)가 된 주민들이 많다”고 덧붙였다.
개발사업이 지지부진하면서 동네의 불도 하나둘 꺼져갔다. 김 씨는 “문 닫은 가게가 많아 밤이 되면 거의 유령도시”라며 “딸 둘이라 등하교에 엄청 신경이 쓰인다”고 호소했다.
○ 드림허브가 국토부에 낸 ‘SOS’는 거절
용산 개발사업이 청산으로 한 발 나아가자 부동산 시장이 악영향을 받을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도 나온다. 특히 한남동 뉴타운 등 용산구 일대 재개발 지역이 문제다. 한남동 김봉진 현대공인 사장은 “4·1 주택시장 대책으로 살아난 기대감이 용산 사업 청산으로 사라져버렸다”며 “뉴타운도 흔들릴까 걱정하는 주민이 많다”고 말했다.
하지만 주택시장 전체를 다시 얼어붙게 만들지는 않을 것이라는 관측도 높다. 개발사업이 지지부진하게 흘러오면서 시장의 기대치가 많이 꺾인 데다 지난달 채무불이행(디폴트) 때 이미 악영향이 반영됐다는 분석이다. 동부이촌동 서울부동산 관계자는 “디폴트를 선언했을 때 사업 중단의 여파를 묻는 전화가 이어졌지만 이번에는 반응이 없다”며 “주민들은 오히려 4·1 대책에 더 많은 기대를 하고 있다”고 말했다.
용산 개발사업 시행사인 드림허브는 이날 코레일을 제외한 민간출자사들의 전원 동의하에 국토교통부 산하 공모형 프로젝트파이낸싱(PF) 조정위원회에 조정 신청서를 제출했다. 하지만 국토부는 “위원회는 사업자 합의가 가능한 곳만 수용한다. 용산은 사업주체들 간의 의견차가 너무 커 접수하기 곤란하다”며 신청을 반려했다. 코레일은 당초 이날까지 내기로 했던 일부 토지반환대금 5400억 원을 늦어도 11일까지 내겠다는 입장을 재확인했다. 토지반환대금 납부가 이뤄지면 용산 개발사업 청산작업이 본격적으로 시작된다.
장윤정·정임수 기자 yunjung@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