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트렌드 생활정보 International edition 매체

[창조경제로 가는 길]창조경제 경쟁력, 중국 > 한국 > 일본

입력 | 2013-04-15 03:00:00

본보-베인앤컴퍼니 평가지수 개발, OECD회원국에 中포함 35개국 비교
韓, 아이디어 창출 31위로 가장 취약




염도(鹽度)를 측정하는 젓가락, 이동거리를 모바일로 공유해 경쟁하게 하는 만보계, 경북 문경의 오미자 농사, 아파트 층간소음 해법까지….

박근혜정부가 핵심 국정과제로 ‘창조경제’를 내세우자 정부, 지방자치단체, 기업 할 것 없이 유행어처럼 창조경제를 갖다 붙이고 있다. 그럴수록 창조경제는 개념이 모호해지면서 미궁에 빠져들고 있다. 동아일보는 창조경제의 개념을 명확히 하고 제대로 창조경제를 구현할 수 있도록 컨설팅업체 베인앤컴퍼니코리아와 함께 ‘창조경제로 가는 길’을 제시한다. 한국의 현주소를 진단하기 위해 ‘동아·베인 창조경제지수(DBCE지수·Dong-A·Bain Creative Economy Index)’도 만들었다.

동아일보와 베인앤컴퍼니는 창조경제를 △아이디어를 창출하고 △이를 사업화하고 △사업을 확장하고 △성공의 선순환을 만드는 4단계 구조로 정의했다. 각 단계에서 강한 경쟁력을 갖추고 서로 연결되게 해야 창조경제 강국이 될 수 있다는 의미다. DBCE지수는 이 4단계를 총 32개의 핵심지표로 측정해 산출했다. 34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과 중국 등 35개국을 대상으로 DBCE지수를 매긴 결과 한국은 25위에 그치는 것으로 평가됐다. 중국과 터키가 각각 22위, 24위로 우리보다 더 창조적인 국가로 꼽혔다. 1위는 미국이 차지했고, 정부가 창조경제 롤모델로 제시한 이스라엘은 9위였다. 일본은 32위에 머물렀다.

한국은 특히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내놓는 아이디어 창출 단계에서 31위에 그쳐 가장 취약한 것으로 평가됐다. 주입식 교육의 영향으로 자기주도적 학습역량이 최하위권에 그친 탓이다. 성공의 선순환도 28위에 머물렀다. 창업 성공은 물론이고 실패의 값진 경험이 사회의 자산으로 대물림되지 못한다는 뜻이다. 반면 아이디어 사업화와 사업 확장은 각각 19위, 14위로 중위권이었다. 정부의 창업 육성 제도와 대기업이 주도하는 첨단기술 경쟁력, 정보통신기술(ICT) 인프라 등이 세계 최고 수준에 오른 덕분이다.

이혁진 베인앤컴퍼니 파트너는 “창조경제 생태계 전체를 염두에 두고 아이디어 창출, 성공의 선순환 시스템 등 우리가 특히 취약한 부분에 대한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용석·김남국 기자 nex@donga.com

▶ [채널A 영상]朴 대통령 “창조경제란…” 관료들에 직접 ‘벼락 과외’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