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라마에는 ‘88만 원 세대’를 상징하는 정주리도 등장한다. 어리바리한 초짜 직장인인 그는 매일같이 회사에서 크고 작은 사고를 치지만 정규직이 되기 위해 동료들의 담배 심부름이나 커피 심부름까지 마다하지 않는다. 드라마는 비정규직의 설움을 과장되게 묘사하고 있지만 정규직과 비정규직의 갈등은 엄연한 현실이다. 자동차 조립라인에서도 정규직 근로자와 협력업체 파견 근로자가 일하는 곳은 분위기부터가 생판 다르다. 학교에서도 교사와 기간제 교사는 하늘과 땅 차이다.
▷실적 경쟁에 시달리던 금융사 인턴직원이 자신의 원룸에서 자살한 사실이 뒤늦게 밝혀졌다. 인턴, 원룸, 자살이란 키워드가 청년세대의 현실을 아프게 상징한다. 자살한 인턴직원은 올 1월 D금융사의 ‘핵심 인재 양성 프로그램 인턴십 과정’에 합격해 월급 100만 원을 받으며 금융상품을 판매했다. 회사는 인턴 기간 내 성과 우수자를 정규직으로 발탁한다고 했다. 인턴에게 정규직 채용만큼 강렬한 유혹은 없다. 이 인턴은 엄청난 스트레스를 받았을 것이다. 그런데도 회사의 냉담한 태도를 보면 인턴은 죽어서도 차별 받는 것 같다.
정성희 논설위원 shchung@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