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고교 교사 서술형문제 출제하느라 진땀
시험을 마치자 반마다 학생 5∼6명이 담당교사를 찾아가 이의를 제기했다. (가), (나), (다) 중 하나만 선택해 식과 답을 쓴 학생들이었다.
이 학생들은 “조건에 ‘(가, 나, 다 중 택1)’이라고 애매하게 쓰여 있어 오해가 빚어진 것”이라며 “복수정답을 인정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문제가 정확하려면 ‘(가), (나), (다)의 경우 볼펜을 최대 몇 개까지 구입할 수 있는지를 각각 구한 뒤’와 같이 조건이 명확히 주어져야 한다는 주장이었다.
최근 학교 시험기간을 맞은 중·고등학교에는 서술형문제를 둘러싼 논란이 끊이질 않는다. 주요 시도교육청이 학교시험에서 서술형문제를 최대 40% 이상 출제하도록 하고 있지만 서술형문제의 특성상 정답이 명확하지 않은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특히 특목고 진학을 준비하는 중학생과 대입 수시모집을 준비하는 고교생들은 1, 2점 차이로도 내신등급이 달라질 수 있어 더욱 민감하게 반응한다.
게다가 길거나 여러 개의 문장으로 문제를 내본 경험이 많지 않은 일부 교사는 출제 의도를 제대로 문장으로 옮기지 못해 곤혹스러워하기도 한다. 많은 교사들은 서술형문제를 출제하면서 골머리를 앓는다. 일부 교사 사이에서는 ‘교육당국의 지침에 따라 서술형문제의 형식은 갖추되, 정답은 서술형으로 나오지 않도록 문제를 출제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우스갯소리가 있을 정도. ‘열린 답’을 요구할 경우 채점 기준을 두고 학생과 학부모의 의혹 제기가 봇물처럼 쏟아질 것이란 우려에서다.
서술형문제 출제비율을 맞춰야 하는 교사들은 이런 현실적 고민을 해결하기 위해 어떤 방식으로 서술형문제를 출제하고 있을까.
① ‘조건 달기’형
② ‘사전 동의’형
시험 전 수업시간에 학생들에게 “수업시간에 가르쳐준 내용과 표현을 써야만 정답”이라고 미리 못 박는다. 서술형이지만 답은 오직 하나만 인정하겠다는 뜻. 일부 학생과 학부모는 “답을 오직 하나만 인정할 거라면 서술형이 아니라 차라리 단답형 주관식으로 문제를 출제하는 게 더 현실적이지 않겠느냐”면서 불만을 토로하기도 한다.
③ ‘눈 가리고 아웅’형
④ ‘나 몰라라’형
이태윤 기자 wolf@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