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트렌드 생활정보 International edition 매체

[세계 전통시장을 가다]日나가하마-히코네 상전벽해

입력 | 2013-05-20 03:00:00

유리공예 ‘스타상품’ 띄우자… 年 244만명 찾는 명품시장 변신




3일 일본 나가하마 전통시장에서 상인들과 관광객들이 취재진에게 손을 흔들고 있다. 인구 6만 명의 평범한 농촌도시 나가하마는 1980년대 유리공예를 마을의 대표 상품으로 키운 결과 이제는 주말 하루 평균 2만여 명의 관광객을 불러들이고 있다. 뒤로 보이는 건물이 나가하마 시장의 명물 ‘구로카베’다. 나가하마=정호재 기자 demian@donga.com

《 ‘골리앗 유통업체’와의 경쟁 속에 국내 전통시장이 설 자리를 잃어가고 있다. 선진국에서도 전통시장들이 거대 자본을 무기로 한 대형마트의 공세에 놓이기는 마찬가지다. 하지만 골리앗의 약점을 파고들어 생존에 성공한 해외 전통시장도 적지 않다. 소규모 전통시장만의 유연함과 전문성으로 오히려 지역상권을 주도하고 있다. 동아일보 특별취재팀이 주요 선진국의 전통시장 성공비결을 현지 취재해 3회에 걸쳐 소개한다. 》

일본 제2의 도시 오사카(大阪)에서 기차로 1시간 반 떨어진 시가(滋賀) 현 나가하마(長濱) 시.

1980년대 후반까지만 해도 이곳은 늙어가는 일본 사회를 단적으로 보여주는 인구 6만 명의 농촌도시였다. 일본 최대 크기의 비와(琵琶) 호수와 흔적만 남은 옛 성곽을 빼면 볼 게 아무것도 없는 이 도시를 일부러 찾는 사람은 드물었다.

하지만 보잘것없는 농촌도시 나가하마 시는 1990년대 들어 기적처럼 부활했다. 지난해 나가하마를 다녀간 관광객은 244만 명. 지역 명물인 나가하마 시장의 매출은 지난해 8000억 원이나 됐다. 일본 언론들은 나가하마를 ‘매력적인 마을 전국 1위’로 꼽고 있다.

나가하마의 기적을 만든 건 지역 상인과 주민들이 의기투합해 만든 ‘구로카베(黑壁)’라는 전통 유리공예 작업장 및 전시장이었다. 나가하마 시장의 한복판에 위치한 구로카베는 일본 전국에서 손님을 끌어모으는 시장의 대표 스타인 셈이다.

구로카베의 유리공예 전문가인 아사히 지사토(淺井千里·33) 씨는 “일본 미술계에서 ‘구로카베’란 타이틀은 흥행 보증수표”라며 “유리공예를 보러 오는 손님 덕분에 전통시장까지 좋아져 보람이 배가 된다”고 말했다.

○ “스타 품목을 키웠더니 시장이 살아났다”

이달 초 일본의 황금연휴를 맞은 나가하마 전통시장은 전국 각지에서 몰려든 관광객으로 ‘문전성시’였다. 특히 일본 최대 규모의 유리공예 전시장이 있는 구로카베는 관광객의 필수코스. 정상급 유리공예가 13명이 각자의 작업실을 운영하고 있다. 관광객들은 유리창 너머로 장인들의 섬세한 손놀림 하나하나를 지켜보며 감탄했고 각종 유리공예 제작에 직접 참여하며 즐거워했다.

1000원대의 소형 장식품에서 1000만 원이 넘는 예술작품까지 크기나 모양도 각양각색이었다. 특히 장인들이 만든 유리 공예품 곁에 늘어선 다른 점포들의 품격도 덩달아 올라갔다.

휴일을 맞이해 오사카에서 온 오카다 도모코 씨(26)는 “유리공예로 유명한 구로카베를 직접 보고 싶어 나섰다”면서 “먹을거리와 볼거리가 많아 하루 더 머물지 고민스럽다”고 말했다. 유리공예 하나가 도시 전체를 관광휴양 도시로 탈바꿈시킨 셈이다.

나가하마 상공회의소에서 30여 년을 일하다 전통시장 사무국장으로 일하는 요시이 시케히토 씨(72)는 “역사 도시라지만 내세울 만한 상업 기반이나 관광 자원은 거의 없었다”며 “지역 주민과 상인이 의기투합해 1800년대 이 마을에서 번성했다가 사라진 ‘유리 공예’를 떠올리지 못했다면 지금도 동네 사람 몇몇만 오가는 시장이 되고 말았을 것”이라고 말했다.

나가하마 시민들은 급했지만 서두르지 않았다. 우선 상인과 지역 주민이 협의체를 구성해 모두 공감하고 힘을 모을 수 있는 방안을 구상했다. 마을의 역사와 전통을 발굴하고 보존하기 위한 ‘풍격(風格) 있는 마을 만들기 위원회’였다.

유리공예를 해결책으로 떠올린 위원회는 직접 유럽을 찾아 마케팅 기법을 배웠고, 젊은 유리공예가를 초청해 상권을 재구성했다. 1989년엔 십시일반 돈을 모아 쓰러져가던 옛 은행 건물을 매입해 유리공예가들을 위한 구로카베를 만들었다.

구로카베에는 지역의 60여 개 기업도 주주로 참여했다. 관리는 시장 상인이 하지만 유능한 전문가를 초빙해 경영을 맡겼다. 그렇게 번 돈은 전통시장에 재투자한다는 게 제1의 원칙이다.

이 같은 노력으로 ‘나가하마=유리공예’라는 브랜드가 전국에 알려지자 시장 전체의 변화는 더욱 빨라졌다. 요시이 사무국장은 “구로카베가 만들어진 뒤 마을 인구는 20%나 늘고, 100여 곳에 불과하던 상점도 500여 곳으로 늘었다”며 “400년 전통의 마을 축제도 덩달아 부활해 새로운 지역 명물이 됐다”고 강조했다.

○ 전통상품을 현대화한 히코네 시장

나가하마에서 남쪽으로 10km 떨어진 히코네(彦根) 시는 불교 사찰이 많아 일찌감치 향과 초를 만드는 장인이 모여 살았다. 일본 근대화 이전만 해도 이곳에서 나온 향과 초는 일본 최고의 상품으로 인정받았다.

하지만 근대화와 함께 전통산업은 생사의 기로에 몰렸다. 하나둘 들어서기 시작한 대형마트는 히코네 시장의 숨통을 조여 왔다. 히코네의 향과 초는 명맥만 유지하는 수준이었다. 더이상 이대로는 안 된다는 위기의식이 히코네 주민과 상인들 사이에 번졌다. 일단 기존 시장 골목을 넓히는 리모델링을 하기로 했지만 문제는 그 안에 담을 내용이었다. 히코네 상인들은 ‘우리가 제일 잘하는 것’에 초점을 맞췄다. 현대인들이 더는 제례의식을 위해 향이나 초를 사용하지는 않지만 집안의 소품과 명상용으로 사용하는 것에 주목했다.

히코네 상인들은 향과 초의 장인을 설득해 현대인의 감각에 맞춘 새로운 제품을 내놓았고 상품 포장에도 각별한 공을 들였다. 결과는 대성공이었다. 히코네 시장에 오지 않으면 구할 수 없는 향과 초를 사기 위해 사람들이 몰리기 시작했고 이들은 시장 전체 상권에 활력을 가져왔다.

변화의 기운은 빠르게 전파됐다. 인근 가게 주인들도 가업으로 내려오던 떡, 과자, 전통인형 등의 포장을 새롭게 바꾸고 현대화하기 시작했다.

야부타 기오시(62) 히코네 상인회장은 “스타 상품을 내세운 덕분에 1년에 100만 명의 외지인들이 전체 길이가 350m에 불과한 마을시장을 찾고 있다”며 “전통의 품격을 잃지 않고도 현대식 상품을 내놓은 것이 성공의 이유”라고 밝혔다.

어디서나 살 수 있는 똑같은 상품을 팔아서는 살아남을 수 없다는 절박함이 일본 특유의 장인정신과 결합하면서 일본의 전통시장은 옛 명성을 회복해가고 있다.

나가하마·히코네=정호재 기자 demian@donga.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