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학평가 새 지평 ‘청년드림 대학평가’
[2013 청년드림 대학] 동아일보-채널A-딜로이트 대학평가
동아일보 청년드림센터는 지난해 9월 모니터그룹과 공동으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20개 회원국의 청년일자리 창출 경쟁력을 평가했다. 이를 토대로 일자리를 바라보는 사고의 틀을 획기적으로 전환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동아일보가 올해 처음 실시한 청년드림 대학평가는 청년일자리 창출에서 경쟁력 역할을 해야 하는 대학교육 인프라를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끌어올리려는 프로젝트다.
○ 무엇을 어떻게 평가했나
졸업자의 절반 이상이 곧바로 취업시장으로 나가야 하지만 실제 직업을 갖는 비율은 3분의 1 수준. 국내 대학이 취업 또는 창업 기능을 외면할 수 없음을 보여주는 수치다.
청년드림 대학평가는 이처럼 사회와 산업이 급변하는데 대학만 변하지 않는다는 인식에서 출발한다. 저성장 저고용 시대로 접어들었는데 대학이 예전처럼 고학년 중심의 단순 취업 지원에 머무른다면 청년백수를 양산할 수밖에 없다.
고부가가치 경제시대에 맞춰 신입생 단계부터 진로를 설계하고 자신에게 맞는 분야를 경험하도록 이끌어줘야 한다. 도서관에 책이 얼마나 많고, 과학기술논문인용색인(SCI) 논문이 몇 편인가를 따지는 수준으로는 학생과 사회가 원하는 인재를 양성하지 못한다.
청년드림 대학평가의 핵심 키워드는 취업에 적합한 인재 양성이다. 하지만 취업률이 얼마인지 들여다보는 데 그치지 않았다. 취업 지원역량이 얼마나 큰지를 중시하면서 인프라나 지원 과정에 높은 비중을 뒀다. 결과만이 아니라 과정과 노력을 모두 보겠다는 취지다. 선진국의 대학 평가는 이미 이런 방향으로 발전하는 중이다. 예를 들어 독일은 대학 강의와 직업능력 교육 효과를 연계한다. 영국은 대학의 취업지원센터를 평가한다.
한국대학교육협의회(대교협)는 “대학을 서열화하는 평가에 협조할 수 없으며 순위 발표를 인정하지 않겠다”고 2년 전에 밝혔다. 당시 대교협은 특정 언론사의 대학 평가를 거론하며 전문성과 타당성이 부족하다고 비판했다. 이런 지적은 대학가에서 꾸준히 제기됐지만 논문 수와 연구비에 중심을 둔 대학평가가 되풀이됐다. 이공계와 자연계가 강한 대학, 교수의 연구에 치중하는 대학이 절대적으로 유리했다. 사회 진출, 즉 취업을 염두에 두고 대학을 고르는 대부분의 수험생과 학부모의 생각이나 희망과는 동떨어진 평가인 셈이다.
평가 결과의 활용방법 역시 다르다. 기존 평가는 일방적으로 순위를 발표하면 그걸로 끝이었다. 대학이 기대할 만한 이점이 없었다. 반면 청년드림 대학평가는 단순한 순위 매기기에 그치지 않고 대학별로 취업·창업 지원 인프라의 장단점을 비교 분석하는 자료를 제공한다. 대학에 부족하거나 바꿔야 하는 점을 알려주고 학생과 학부모의 대학 선택권을 보장하기 위한 시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