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승훈 문화부 차장
대통령의 미 의회 상하원 합동연설이 예정된 날 새벽에 벌어진 윤창중 전 대변인의 성추행 사건도 마찬가지였다. 사건을 보고받은 청와대나 주미 한국문화원 관계자들은 눈앞이 캄캄했을 것이다. 고위공직자가 미국에서 수사받는 망신을 피하기 위해 그들은 피해 여성을 설득하고 윤창중을 서둘러 귀국시키려 애썼을 것이다.
이렇듯 이 사건에 대한 첫 반응은 우선 ‘나라 망신’을 막아 보자는 시각이었다. 심지어 피해 여성에게 “그깟 일로 경찰에 신고하느냐”며 화살을 돌리는 사람들도 있었다. 그러나 기자회견에서 윤창중의 뻔뻔스러운 궤변을 본 국민들은 더이상 나라 망신을 걱정하지 않았다. “미국으로 보내 철저히 수사를 받게 하라”는 분노가 터져 나왔다.
그러나 조승희는 조승희고, 윤창중은 윤창중일 뿐이다. 이제 ‘모두가 국가대표’라며 일희일비하는 시각에서 좀 자유로워질 때가 되지 않았을까. 싸이, 김연아, 박지성 같은 성공한 스타 한두 명 때문에 갑자기 국격이 오르는 것이 아니듯이, 윤창중 조승희 때문에 대한민국이 하루아침에 곤두박질치는 것도 아니다. 평생 ‘B급’을 자부해 오던 싸이도 ‘강남스타일’이 뜨자 갑자기 자신을 국가대표로 여기며 ‘A급’을 요구하는 시선에 부담을 느꼈을 것이다.
2년 전 국제통화기금(IMF) 총재이자 프랑스의 유력한 대선후보였던 도미니크 스트로스칸은 뉴욕에서 성폭행 혐의로 체포돼 곤욕을 치렀다. 미국에서도 빌 클린턴 전 대통령이 섹스 스캔들로 큰 파문을 일으켰다. 그러나 그들은 ‘나라 망신’이라는 이유로 고위공직자의 추문을 봐주거나, 숨겨주지 않았다. 글로벌 시대에 창피한 건 사람도, 스캔들도 아니다. 사건이 생겼을 때 얼마나 투명하고 공정하게 처리하느냐가 ‘국격’을 결정짓는 요소일 것이다.
전승훈 문화부 차장 raphy@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