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산림의 근간을 이루고 있는 백두대간은 우리 민족의 사회문화적 의미를 담고 있을 뿐만 아니라 경제적 가치가 높다. 사진은 향로봉에서 바라본 백두대간. 동아일보DB
○‘국민 보약’ 백두대간
23일 경북 영주시 봉현면 두산리 소백산 옥녀봉 자락에서는 국립 백두대간 산림치유단지 조성을 위한 첫 삽을 떴다. 총 1312억 원이 투입되는 이 단지는 면적만 2889ha(중점시설지구 152ha)로 산림치유 체험, 연구개발, 교육 등을 기능적·물리적으로 통합해 기초 연구에서 응용·산업화까지를 아우르게 된다. 또 백두대간의 풍부한 산림 자원을 활용해 국민의 보건의학적 수요와 산림휴양·치유 수요를 충족시키고 낙후한 이 지역을 발전시키는 계기를 마련하겠다는 취지다.
강원지방우정청 우편물류과 김영식 과장(49)은 아들과 함께 8년여에 걸쳐 백두대간을 종주한 뒤 종주기 ‘아들아 밧줄을 잡아라’를 4월 출간했다. 그는 이 책에서 “사춘기였던 아들에게 강인함을 심어 주기 위해 반강제로 백두대간 종주를 시작했다. 죽기 전에 가장 행복했던 기억 한 가지만 가지고 가라면 주저 없이 아들과 함께 백두대간을 산행한 것이라고 말할 것”이라고 적었다.
○ 백두대간이 살아야 우리가 산다
그러나 최근 백두대간은 수난을 겪고 있다. 1970년대 이후 본격화된 도로, 댐, 리조트 건설, 광물 채취, 군사시설 설치 등 개발 사업으로 심각하게 훼손되고 있다. 이에 따라 올해 3월 백두대간 보호에 관한 법률(백두대간보호법) 시행령이 공포됐다.
김정호가 그린 대동여지도에 나타난 백두대간. 산림청 제공
그러나 백두대간을 관리하기는 쉽지 않다. 백두대간 보호지역인 마루금의 경우 종주하는 사람들이 늘면서 연간 약 2000명이 등반하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마루금 구간의 일부가 훼손되고 있어 산림청 등은 이 지역 환경 보호를 위해 이용 실태 및 훼손 영향을 조사하고 모니터링 함으로써 보전 관리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산림청 백두대간치유센터 담당인 김영철 과장은 “백두대간보호법 제정 이전에 각종 개발의 영향으로 백두대간이 상당 부분 훼손됐다. 다행히 2006년부터 복원 작업을 실시해 왔고 체계적인 관리 대책을 마련 중”이라고 말했다.
백두대간을 세계자연유산으로 등재하자는 주장도 있다. 서울대 김성일 교수(산림과학부)는 “백두대간이 세계유산으로 등재되면 국내외에서 관심과 지원을 받을 수 있다. 백두대간에 대한 자부심도 높아질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정부의 추가적인 관심과 지원으로 보전 계획 및 관리 수준을 높여야 한다”며 “백두대간을 국제적인 명소로 만들면 이에 따른 고용 기회 및 수익도 늘어날 것”이라고 덧붙였다.
대전=이기진 기자 doyoce@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