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트렌드 생활정보 International edition 매체

김지하 “박경리 선생처럼 똑똑한 작가는 처음”

입력 | 2013-05-31 03:00:00

[허문명 기자가 쓰는 ‘김지하와 그의 시대’]<38>박경리 1




김지하 시인을 처음 만났을 당시 1970년대 초반의 박경리 선생. 단아한 모습의 전형적인 한국형 미인이다. 박 선생은 당시 암 투병 중에도 토지 1부를 써내 문단으로부터 존경받는 문인이었지만 은둔하다시피 살고 있었다. 동아일보DB

주로 원주에 머물던 김지하는 서울에 올라오면 문단의 지인들과 어울렸다. 1971년 가을 그날은 ‘현대문학’ 편집장 김국태 형(2007년 작고·소설가·김근태의 형)과 소설가 유현종(73·전 한국문학예술진흥회장·전 중앙대 국문과 교수)과 함께였다. 일행은 1차를 마치고 더 마시고 싶었지만 주머니에 돈이 없었다. 인근에 있는 가까운 작가들 집에 쳐들어가기로 마음먹고 먼저 성북동에 살고 있던 소설가 김동리 집으로 갔다. 선생은 마침(?) 출타 중이었다.

김 편집장이 “가까운 곳(정릉)에 박경리 선생 집이 있으니 그리로 가자”고 제안했다. 박 선생은 69년부터 현대문학에 토지 1부를 발표한 상황이어서 두 사람은 잘 아는 사이였다. 김지하 역시 토지를 읽었던 상태였고 이미 당대 최고 작가 반열에 올라 있던 박 선생에 대해 그 역시 존경하는 마음을 갖고 있었다.

박 선생은 다행히(?) 집에 있었다. “맥주 한잔 얻어먹으러 왔다”고 하는 일행을 흔쾌히 안으로 들였다. 선생 옆에는 딸 김영주(현 토지문화관 이사장)가 서 있었다. 김영주는 당시 연세대 사학과와 대학원을 졸업한 뒤 문화재관리국 연구실에서 일하고 있었다.

선생과 일행들 간에 이야기꽃이 피기 시작했다. 김지하의 회고다.

“말로만 듣던 박 선생을 그날 처음 뵈었다. 얼굴이 굉장히 미인이셨다. 말씀도 잘 들어주시고 대답도 잘 해주셨지만 쉽게 속내를 알 수는 없었다. …역사(歷史) 이야기가 나오자 식견이 보통 탁월한 것이 아니었다. 주로 내가 여쭙고 박 선생이 답을 했는데 경상도 전라도 지리산 등등 민감한 지역 문제들에 대해서도 막힘이 없었다. 화엄불교, 동학에도 해박했고 동서양 역사는 물론 한국 현대사까지 줄줄이 꿰고 있었다. 혹시 공산주의자인가 싶어 은근슬쩍 물었더니 공산주의에 대해서는 아주 비판적이었다. 나는 작가들 중에서 그렇게 똑똑한 사람을 태어나서 그때 처음 보았다.”

일행은 맥주를 잔뜩 얻어먹고 나왔다. 박 선생은 일행을 배웅하며 “또 놀러 오라”고 말했다. 평소 낯가림이 심하기로 유명했던 선생으로서는 이례적인 말이었다. 일행은 “박 선생이 저런 말씀을 하시다니 아마 지하가 마음에 드셨나 보다” 하는 반응들이었다.

김지하도 그날 만남이 오래 잊히지 않았다.

며칠 뒤에는 한밤중에 홀로 자신의 일본어판 첫 시집 ‘긴 어둠의 저편에’를 박 선생 집 신문 넣는 구멍을 통해 집어넣고 왔을 정도였다. 그리고 또 며칠 뒤엔 혼자 놀러 가기도 했다. 김지하는 “박 선생이 따뜻하게 대해 주어 고마웠다. 그 뒤로도 가끔 놀러 갔다”고 한다. 그때만 해도 그는 ‘광복 이후 한국 문학이 거둔 최대의 수확’이라는 평가를 받는 ‘토지’의 작가 그리고 그의 딸과 훗날 장모와 아내라는 운명적 인연을 맺게 되리라는 것을 전혀 짐작하지 못했다.

그렇다면 박경리 선생은 김지하와의 첫 만남을 어떻게 기억하고 있을까.

박 선생(2008년 작고)은 생전에 인터뷰를 극도로 사양했다. 어렵게 이뤄진 인터뷰에서도 가족 이야기는 별로 하지 않았다. 그런 그가 1994년 작가세계 가을호에서 서울대 송호근 교수(사회학과)와 장시간 인터뷰를 하면서 김지하와의 첫 만남을 이렇게 말하고 있다.

“그러니까, 내 나이 마흔여섯이었을 거예요. ‘토지’를 집필하자 곧 (유방)암 수술을 받았지요. 나는 소풍가는 기분이었어요. 의사가 어이없다는 표정을 지었지만 나는 실지로 그랬지요. 그늘, 태어나고부터 줄곧 나를 억누르던 그늘에서 이제야 해방된다는 홀가분한 심정이었어요. (내가 쓴 소설) ‘시장과 전장’은 실화예요. 서대문 형무소에서 남편이 죽고 (곧이어 소설) ‘불신시대’를 쓰기 전에는 아들이 죽었지요. …(어느 날) ‘현대문학’ 김국태 씨가 지하와 함께 왔어요. ‘오적’을 읽고 싶었는데 구하질 못해 읽어보지는 못했던 때였죠. (글을 쓰는 내가) 글 잘 쓰는 젊은이에게 호감을 갖는 것은 당연하잖아요?”

71년 가을 그날, 김지하가 박 선생을 처음 만났을 때 선생은 69년 집필을 시작한 토지를 위해 거의 은둔하다시피 살고 있었다. 그해 암으로 오른쪽 가슴을 절제하는 수술을 받고도 수술 뒤 보름 만에 퇴원해서는 수술 부위를 붕대로 싸맨 채 토지를 썼던 그였다(토지 2부를 쓸 때는 사위 김지하가 구속되면서 또 다른 고초를 겪는다).

선생을 평생 가장 가까운 곳에서 지켜본 딸 김영주 토지문화관 이사장은 당시 어머니의 모습을 이렇게 기억한다.

“마음속으로 온갖 고통을 꾹꾹 누르고 있다가 마지막 해를 넘기는 날 같은 때에는 한 번씩 창자가 끊어지듯 우셨어요…지금도 잊히지 않는데 어느 연말 어수선한 밤, 방에서 울려나오던 통곡소리가, 마음 바닥에서부터 치밀어 오르는, 마치 가슴이 터져버릴 듯 통곡하시던… 그 밤이 잊히지 않습니다. 그 무렵 어머니는 작가로서 별처럼 반짝이며 떠오르고 있었고, 그것이 세상 사람들에게는 질시의 표적이 되었던 것 같은데 그날은 아마 말로 표현하기 어려운 험한 말을 들으셨나 봐요. 어머니는 마치 온몸을 부숴 버릴 듯 통곡을 하시고 난 다음엔 언제 그랬느냐는 듯 단정하게 앉아, 그야말로 모질게 원고지 앞에 앉아 펜을 드시곤 했습니다.”

김 이사장은 “어머니가 김 시인을 처음 만난 날 호감을 가졌던 것은 사실”이라며 기자에게 이렇게 말했다.

“어머니는 암 투병 후 내 결혼 문제를 심각하게 생각하고 계셨습니다. 당신이 언제 죽을지 모르니 하나 남은 딸자식에게 꼭 인연을 만들어주고 죽어야겠다고 생각하신 것 같아요. 실제로 김 시인을 만나기 전에 어머니가 주선해 선도 한 번 본 적이 있어요. 그런데 김 시인을 우연히 만나보고는 마음에 드셨던 거지요. ‘오적’을 낸 시인이니 앞으로 고난은 좀 있겠지만 똑똑한 젊은이니까 처자식 밥은 굶기지 않겠구나 생각하신 거죠. 하지만 보기 좋게 틀린 생각이 되었습니다(웃음).”

허문명 기자 angelhuh@donga.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