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 심기일전, 中 기세등등, 日 와신상담
영원할 것 같던 일본 바둑은 1980년대 중국과의 슈퍼대항전에서 녜웨이핑((섭,접)衛平)에게 일본의 고수들이 연거푸 무너지면서 금이 갔다. 그 녜웨이핑을 한국의 조훈현 9단이 꺾었다. 1989년 초대 잉창치(應昌期)배를 거머쥔 것. 바둑의 변방으로 취급받던 한국은 조훈현 이창호 이세돌을 거치며 중원을 장악한다. 세 천재 기사가 따낸 세계대회 타이틀만 50개일 정도로 한국 바둑의 중흥기라고 할 수 있다.
그러다 21세기를 맞아 10년이 지나는 동안 중국의 1990년대 이후 출생자들인 주링허우(90後)가 무섭게 성장했다. 세계대회에서 중국 기사가 우승하는 횟수가 늘어나고 일본 기사는 2005년 장쉬(張허) 9단이 LG배에서 우승한 이후 자취를 감췄다.
배태일 박사(전 스탠퍼드대 교수)가 지난해 세계대회 6개 본선 진출자들의 국적을 조사한 결과 준결승 및 결승 단계에서는 한국과 중국이 백중세를 보이고 있다. 실제 세계대회 타이틀 보유도 한중은 3-3으로 비슷하다. 하지만 8강에서는 40%-56%로, 16강에서는 35%-58%로 한국이 불리하다. 32강-64강으로 내려갈수록 중국세가 강하다.
5월 말 열린 제1회 멍바이허(夢百合)배에서도 예선 통과자는 한국이 14명, 중국이 35명으로 압도적으로 우세하다. 일본은 11명이 출전해 모두 떨어졌다. 일본은 지난해 중국 바둑리그 갑을병조 가운데 을조리그에 조치훈 9단을 주장으로 하는 팀을 파견했으나 성적이 나빠 병조리그로 강등됐다. 올해 병조리그에 출전했으나 24개 팀 중 17위에 그쳤다.
그러던 일본이 요즘 달라졌다. 지난달 둘로 갈라져 있던 일본기원과 관서기원이 힘을 합쳐 국가대표팀을 창설했다. 더이상 한중에 밀려서는 안 된다는 위기의식 탓일 것이다. 남자 기사 20명과 여자 기사 10명 등 30명으로 팀을 꾸렸다. 일본 주요 기전 우승자와 신예를 총망라했다. 언론 보도에 따르면 야마시로 히로시(山城宏) 대표팀 감독은 “힘을 합쳐 다시 세계 일등이 되도록 젊은 기사들을 단련하고 싶다”고 말했다고 한다. 그런 기운이 전해진 탓인지 10일 세계대회 LG배에서 일본은 3명이 진출하는 기염을 토했다.
한국의 정상급 기사들이 중국의 솟아오르는 기세를 언제까지 막아낼지, 바둑을 예(藝)나 도(道)가 아닌 스포츠로 인식하기 시작한 일본이 앞으로 어떤 변수로 작용할지 앞으로 볼만해진 한중일 바둑삼국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