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트렌드 생활정보 International edition 매체

대선불복 속내 감춘 채… 열성 지지층 결집 노린 ‘막말 정치’

입력 | 2013-07-16 03:00:00

■ 전문가들이 본 숨은 코드




정치의 역할은 갈등 조정이다. 그러나 대한민국의 정치는 갈등을 조장하고 양산한다. 갈등을 만들어내는 도구는 막말이다. ‘공업용 미싱’, ‘차떼기당’ 발언 등 막말은 과거에도 적지 않았다. 그럼에도 지금 ‘태어나지 말았어야 할’(귀태·鬼胎) 막말이 더욱 폭발력을 갖는 까닭은 이면에 ‘대선 불복종’을 함축했기 때문이다. 대선 불복이 막말에 실려 나오는 데는 숨은 코드가 작용하고 있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한다.

○ ‘집토끼’ 잡기?

12일 귀태 발언 파문을 일으킨 홍익표 전 원내대변인의 사퇴가 결정됐다는 소식을 들은 민주당 관계자는 “지지층은 반발할 텐데…”라며 우려스럽다는 표정을 지었다. 그의 예측대로 이튿날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공간에서는 민주당 지지층으로 추정되는 누리꾼들이 홍 의원을 응원하고 당 지도부를 공박하는 글을 쓰고 퍼 날랐다. 지지층이 결집하는 양상을 보인 것이다.

막말을 통해 지지층을 결집시키려고 시도하는 것은 대선에서 패배한 정당에서는 드문 현상이 아니다. 2002년 대선에서 패배한 새누리당도 ‘등신외교’니, ‘노가리’니 하면서 노무현 전 대통령을 비난한 적이 있다. 신율 명지대 교수(정치외교학과)는 “막말은 지지층을 응집시키고 카타르시스를 느끼게 하는 측면이 있다”고 말했다.

그런데 이번 민주당의 막말은 민주당 지지층 전체를 대상으로 하는 것이 아니라는 분석이 나온다. 민주당 핵심 관계자는 “이번 막말 사태는 당내 강경파가 당 밖 강경파를 겨냥한 몸부림”이라며 “트위터 등에서 막말을 응원하는 사람들은 많아 봐야 1만, 2만 명에 지나지 않지 않나”라고 말했다.

현재 민주당 막말의 스피커는 친노(親盧·친노무현) 진영 또는 구(舊)주류 세력이다. 박근혜 대통령을 겨냥해 ‘당선무효’ 가능성을 언급하면서 “박정희가 누구한테 죽었느냐”며 막말을 퍼부은 이해찬 상임고문은 대표적인 친노 인사다. 그는 노무현 정부에서 총리를 지내고 작년 당 대표를 맡은 핵심 인사다.

이 고문은 14일 세종시에서 열린 ‘정치공작 규탄 및 국정원 개혁 촉구 충청권 당원 보고대회’에서 “박 대통령이 국정원을 자꾸 비호하고 거짓말하면 당선 무효까지 주장할 수 있는 세력이 늘어가게 되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옛날 중앙정보부를 누가 만들었나. 박정희가 누구이고 누구한테 죽었나. 박씨 집안은 안기부, 정보부와 그렇게 인연이 질긴가. 이젠 끊어달라”고 했다.

박근혜 대통령과 박정희 전 대통령의 존재 자체를 인정하기 싫다는 식의 귀태 발언이 가까스로 수습된 지 이틀 만에 이 고문이 비슷한 취지의 발언을 쏟아낸 것은 말실수로 보기 어렵다. 민주당 지도부가 대선 불복으로 비칠 수 있는 주장이나, 장외 투쟁을 자제하려는 것과는 전혀 다른 흐름이 친노 진영에서는 형성되고 있는 것이다. 김형준 명지대 교수(인문교양학부)는 “친노 세력은 네거티브 방식으로 포퓰리즘을 일으켜 국민의 지지를 얻는다는 생각이 강한 것 같다”고 비판했다.

○ 갈등만이 살길?

대선 불복이라는 막말의 또 다른 코드는 ‘당내 주도권 싸움’이다.

민주당 김한길 대표는 취임 이후 줄곧 정상적인 국회 안에서 문제를 해결해 정국 주도권을 잡는다는 전략을 고수했다. ‘을(乙)을 위한 국회’를 내걸고 경제민주화 3법을 통과시킨 6월 국회에서는 당 지지율이 25%를 상회했다. 그러나 국가정보원 정국 이후 당의 지지율은 15% 안팎으로 추락했다.

박원호 서울대 교수(정치외교학부)는 “민주당 친노 인사들은 여야 갈등이 유지·심화될수록 내부 단합이 용이해진다고 생각하는 것 같다”고 진단했다

즉, 친노·강경파의 거듭되는 막말은 정국이 국정원 댓글 사건이라는 하나의 의제로 수렴해 당 지도부가 이니셔티브를 쥐는 상황을 경계하는 데서 나타나는 견제 현상이라는 분석이다. 내년 6·4 지방선거를 앞두고 공천권과 당 주도권 경쟁이 심화될 수밖에 없는 상황에서 친노의 최근 기류는 예사롭지 않다는 얘기가 나온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정략 차원에서는 유리할지 모르지만 수권정당의 모습을 포기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민동용·최창봉 기자 mindy@donga.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