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트렌드 생활정보 International edition 매체

[미래를 꿈꾸는 정치인] 돌고 돌아 친정에 온 이인제

입력 | 2013-07-24 03:00:00

산전수전 다 겪었다… ‘통일’ 화두 들고 다시 내일 향해 잰걸음




23일 국회 의원회관 새누리당 이인제 의원 사무실엔 한쪽 벽을 채우는 대형 백두산 천지(天池) 사진이 걸려 있었다. 이 의원 집무실에도 눈 쌓인 천지 그림이 걸려 있었다. 그는 “한국의 새로운 가치는 통일”이라며 “국민이 통일에 대한 비전과 열정, 희망을 가질 수 있도록 마지막까지 땀을 흘리겠다”고 힘줘 말했다. 변영욱 기자 cut@donga.com

“회피할 생각이 전혀 없다.”

이인제 새누리당 의원은 ‘다시 한 번 대통령 선거에 나설 뜻이 있느냐’는 질문에 이렇게 답했다. 그리고 “그 이야기를 하기 전에 이걸 먼저 말하고 싶다”며 말을 이어갔다.

“통일은 이데올로기가 아니다. 통일은 경제고 문화고 더 나은 우리의 삶이다. 안타깝게도 국민들은 아직 통일비전을 공유하지 못하고 있다. 특히 젊은이들은 통일에 대해 부정적이고 비관적인 인식까지 가지고 있다. 한국 사회엔 새로운 비전이 필요하다. 바로 통일이다. 국민들이 비전이나 열정, 희망을 가질 수 있도록 열심히 일을 하다 보면 국민들이 나에게 일을 맡겨 주시지 않겠나.”

18일 오전 국회 의원회관 사무실에서 만난 이 의원은 여전히 열정이 넘쳤다. 이 의원은 1988년 법복을 벗고 13대 총선에서 40세의 나이로 경기 안양갑 통일민주당 후보로 출마해 당선, 정계에 발을 들였다. 이후 최연소 노동부 장관, 최초의 민선 경기도지사 등 ‘정치인 이인제’의 출발은 누구보다 화려했다. 1997년 15대 대통령 선거에선 만 49세의 나이로 500만 표를 얻는 돌풍도 일으켰다. 그러나 후폭풍은 만만치 않았다. 새누리당의 전신인 신한국당에서 탈당한 뒤 그의 정치 역정은 말 그대로 유랑 생활이었다. 잡힐 듯 손아귀를 벗어난 대권의 꿈은 점점 더 멀어져 갔다. 2007년 17대 대선 때 조순형 의원을 제치고 민주당 후보로 다시 출마했지만 0.7%의 낮은 득표율에 그쳤다. 그 사이 탈당과 창당을 반복하며 12번 당적 변경이라는 불명예스러운 진기록도 세웠다. 그는 지난해 10월 자신이 이끌던 선진통일당과 새누리당의 합당으로 15년 만에 친정인 새누리당으로 돌아왔다.

이 의원은 어느새 6선 의원으로 자리매김했다. 선수로만 따지면 정몽준 의원(7선)에 이어 당내 서열 2위다. 그의 말을 빌리자면 ‘지구를 한 바퀴 돌아’ 친정으로 돌아왔지만 당내에서 그의 위상은 예전 같지 않다. ‘자리를 약속받고 돌아온 것 아니냐’는 싸늘한 눈초리도 있다. 19대 하반기 국회의장 밀약설도 끊이지 않는다.

그는 “박근혜 대통령과 어떤 계약이나 약속도 없었다”고 잘라 말했다. 국회의장 자리에 대해서는 “생각해 본 적 없다”고 말했다.

“국회의장은 명예와 권위를 상징하는 자리다. 나는 험난한 정치역정을 겪어 온 사람이다. 험한 일이 나에게 더 어울린다. 열정과 꿈을 가지고 일과 행정을 하는 것이 더 맞는다. 장관 도지사도 그렇게 했고 나름 성과도 냈다고 자부한다. 국회의장은 나보다 흠이 없고 명예로운 사람이 하는 것이 맞다.”

그러면서 자신의 시선은 ‘자리’나 ‘당내 세력’ ‘지역 기반’ 등 일반적인 정치적 문법을 넘어 ‘통일’과 ‘한반도’를 향해 있음을 강조하고 싶어 하는 듯했다.

이 의원은 “1997년부터 대통령에 뜻을 뒀지만 나의 비전과 목표는 지금이 더 절실하다”고 말했다. “그 어느 때보다 남과 북 모두에게 통일이 절실한 여건과 환경이 조성되고 있기 때문”이라고 했다. 그는 “한국사회는 실업, 부의 양극화, 노령화라는 모순에 직면하고 있다. 우리가 당면한 사회경제적 모순과 충격을 일거에 해결할 수 있는 탈출구가 통일”이라며 “북한 주민들에게는 억압에서 풀려나고 경제적 빈곤을 해결할 수 있는 축복이기도 하다”고 설명했다.

그는 아직까지 전면에 나서지 않고 있다. 그는 앞으로의 정치적 행보에 대해서도 말을 아꼈다. 당이 필요로 할 때까지 가급적 목소리를 내지 않는 것이 16년 전 탈당에 따른 ‘최소한의 도리’라고 판단한 듯했다.

그는 “오랫동안 당을 지킨 사람들 입장에서 보면 나는 큰 빚을 진 사람”이라며 “다른 사람보다 두 배, 세 배 희생해서 정치적 부채를 어떻게든 갚아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유랑 생활’에 대해 묻자 그는 “10년 넘게 바닥에서 지내면서 마음이 편해졌다”고 했다. 또 “온갖 비난 속에 있어봤지만 더 많은 걸 생각하고 공부한 소중한 시간이었다”며 “큰 흐름 속에서 내가 할 수 있는 역할을 긍정적으로 찾으려 한다”고 말했다.

그렇다고 이 의원이 공부에만 파묻혀 사는 것은 아니다. 1997년과 2002년 두 차례나 대권의 문턱까지 갔던 그가 세력의 중요성을 모를 리 없다. 그는 지난달 20일 싱크탱크인 한반도통일연구원을 출범시켰다. 1주일에 한두 차례 당내 초·재선 의원들도 꾸준히 만나고 있다. 물론 주요 화두는 ‘통일’이다. 연구원은 출범 한 달도 안 됐지만 당내 의원들과 전문가들을 초빙해 벌써 두 차례나 정책토론회를 열었다. 새누리당의 대표적인 통일외교 전문가인 길정우 의원은 “그는 엉뚱한 이데올로그가 아니다. 경기지사, 장관 등을 거치면서 쌓인 현장감과 행정의 경험이 그의 통일론에 녹아 있다”며 “막연히 ‘통일을 해야 한다’는 당위론이 아니라 현실에 기반한 그의 생각은 다른 어떤 통일론보다 설득력과 분명한 비전이 있다”고 평가했다.

그는 인터뷰 도중 여러 차례 ‘미래’ ‘꿈’ ‘비전’ 등을 말했다. 가장 좋아하는 연설이 윈스턴 처칠의 ‘Never give up(절대 포기하지 마라)’이라며 “나는 아직 젊고 건강하다”고도 했다. 그는 자신의 정치를 이렇게 표현했다.

“화가는 백지에 물감으로 아름다운 그림을 그리는 예술가이고, 작가는 종이에 단어 하나하나를 결합시켜 감동적인 스토리를 만드는 예술가다. 정치는 국민이 더 자유롭고 행복하게 살 수 있도록 텅 빈 공간인 미래에 새로운 가치와 질서를 채우는 예술이라고 생각한다. 정치인은 열정이 있고 힘이 남아 있는 다가오는 미래를 향해 땀을 흘려야 한다.”

하지만 당내에선 과연 그에게 기회가 다시 돌아올 것인지에 대해 회의적인 시선이 많다. 그가 넘어서야 할 ‘정치적 업보’는 여전히 태산인 듯하다.

길진균 기자 leon@donga.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