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4·1 부동산 대책’ 후속조치 주요내용
서승환 국토교통부 장관이 24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4·1 부동산 대책’ 후속조치 브리핑에서 “주택 시장 정상화를 위해서는 주택 공급을 줄여 수급 불균형을 해소하고 다주택자 양도소득세 중과 폐지, 분양가 상한제 탄력 적용 등의 방안이 빨리 추진돼야 한다”고 말했다. 홍진환 기자 jean@donga.com
○ 정부, 공급 과잉 해소로 방향 전환
정부가 주택공급 감축 카드를 꺼내든 것은 현재 극도로 침체된 수도권 시장이 공급 과잉에 짓눌려 있다는 판단을 했기 때문이다. 국토부에 따르면 2010년부터 2012년까지 수도권 주택수요는 24만∼25만 채였지만 공급은 25만∼27만 채로 매년 1만∼2만 채가 초과 공급됐다. 경제성장률을 비롯해 수도권 유입 인구, 가구 증가율이 둔화되고 있고 여기다 집값 상승 기대감이 크게 꺾였는데도 주택공급은 과잉에 직면했던 것.
또 이달 들어 취득세 한시적 감면 조치가 끝나고 계절적 비수기까지 겹쳐 주택거래가 끊기는 ‘거래절벽’ 현상이 다시 나타나자 4·1 대책의 효과가 단절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커졌다. 이러다가 하반기 주택시장이 완전히 얼어붙어 경기회복의 걸림돌이 될 수 있다는 위기감이 커진 것도 이번 후속 조치 발표를 서두르게 한 요인이다.
○ 중장기 집값 상승엔 긍정적, 단기적으론 한계
김현아 건설산업연구원 건설경제연구실장은 “정부가 4·1 대책에서 30년 만에 처음으로 공급 축소를 정책에 담았는데 4개월여 만에 후속 조치를 내놔 분명한 실천 의지를 보여줬다”며 “수도권 수요자들의 주택구매 심리 회복에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함영진 부동산114 리서치센터장도 “장기적으로 주택수급을 개선한다는 점에서 시장 정상화에 바람직한 방향”이라고 말했다.
이태훈·정임수 기자 jefflee@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