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2차관 산하 국장-과장 교차근무, 미래부 내부 부서 칸막이 허물겠다”
최 장관은 취임 100일을 사흘 앞둔 23일 동아일보 기자를 만나 “융합형 조직을 만들기 위한 검토가 막바지에 이르렀다”며 “9월부터 미래부에 부서 사이의 칸막이는 없다”고 말했다.
이 같은 발언은 미래부가 대표적인 융합형 부처로 출범했지만 그동안 옛 과학기술부(1차관 산하)와 정보통신부(2차관 산하) 출신 공무원들이 제대로 협업하지 못했다는 반성에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최 장관은 “(교차 근무를 통해) 미래부 내부의 보이지 않는 벽부터 허문 뒤 정부 혁신을 선도하겠다”고 강조했다.
최 장관은 창조경제의 성패를 좌우할 요소로 기초과학 분야 정부출연 연구기관들이 주도하는 연구개발(R&D)을 들었다. 이들의 연구가 중소 및 벤처기업에 실질적인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는 “나도 연구원(한국전자통신연구원) 출신”이라며 “정부출연 연구기관들이 창조경제의 주역이 될 수 있도록 개혁해 최소한 15%의 역량을 중소기업 지원에 쓰도록 하겠다”며 의지를 내비쳤다.
그렇다고 정부가 모든 것을 주도할 수는 없다는 점도 명백히 했다. 최 장관은 “창조경제란 정부와 민간이 함께 문제를 선도적으로 발견하고 풀어가는 과정”이라며 “정부는 민간이 쉽게 도전할 수 없는 미래 먹거리 생태계를 뒤에서 묵묵히 조성해 나갈 것”이라고 했다. 하반기(7∼12월) 소프트웨어, 보안, 콘텐츠 산업 등 정보통신기술(ICT) 분야의 생태계 진흥 정책을 시작으로 점차 그 범위를 넓힐 계획이다.
그는 “창조경제에 대한 정부의 의지는 시작할 때와 마찬가지로 확고부동하다”며 “창조경제의 방향이 잘못되고 있다고 생각되면 나부터 꾸짖어 달라”고 말했다.
정호재 기자 demian@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