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림청은 올해부터 5년간 7조7000억 원을 투입해 3만5000개의 산림 관련 일자리를 창출할 계획이다. 이대로 추진될 경우 현재 25만5000개의 산림 분야 일자리는 29만 개로 늘어난다. 산림청 제공
앞으로 이런 명함의 전문직업인들이 등장할 것으로 보인다. 올해 대학을 졸업한 취업 준비생 이모 씨(25)는 최근 한 신문에서 충북 보은국유림관리소에서 숲을 관리하는 권모 씨(55)의 기고문을 읽고 귀가 솔깃했다. 권 씨는 대학을 졸업한 뒤 컴퓨터 관련 회사에서 일하다 건강이 악화돼 귀농했다. 그리고 산림산업기사, 산림기능사 자격증을 취득해 새로운 인생을 살고 있다는 얘기였다. 이 씨도 권 씨처럼 산림 관련 자격증을 따기로 결심했다.
강원 양구국유림관리소 소속 김관중 씨(47)는 연 매출액이 6억 원에 이른다. 군 제대 후 고향인 양구에서 수족관을 운영하다 1998년 금융위기로 거리로 내몰렸다. 그러던 중 숲 가꾸기 공공근로사업을 알게 됐고 2년 만에 산림, 조경, 임업종묘, 산림기능장 자격증을 땄다. 벌채된 나무를 수집하는 장비를 개발해 판매도 한다. 사람들은 그를 ‘성공한 임업인’이라 부른다.
최근 숲과 관련된 일자리가 갈수록 다양해지고 있다. 숲 가꾸기 사업을 위한 공공근로 인력은 물론이고 숲 해설사, 숲 치유사, 유아 숲 지도사, 수목원 관리사, 벌채·수집 전문가, 산림유전자원 수집·평가단 등…. 이제 숲은 단순히 ‘보고 즐기는 곳’이 아니라 ‘새로운 일자리를 만드는 효자’로 자리 잡았다. 새 정부의 핵심 국정과제 중 하나인 일자리 창출에도 기여하고 있다.
그동안에도 숲은 일자리 창출의 숨은 공로자였다. 산림청에 따르면 금융위기를 맞은 1998년부터 지난해 말까지 숲 가꾸기 사업에 투입된 예산은 2조9811억 원이나 됐다. 이 기간에 249만3000ha의 숲이 조성됐고 고용인원은 5875만 명에 달했다. 올해도 이 분야에 1만3771개의 일자리가 생긴다. 숲을 가꾸면서 투자 이상의 효과가 생긴 셈이다.
산림청 이상익 산림자원과장은 “국내 산림의 67%가 사람의 손길이 필요한 40년생 이하 나무다. 이들의 가치를 높이기 위해서는 숲 가꾸기가 필수적이다. 이에 따른 숲 경관 개선과 산불 예방, 원료 공급, 저소득층 일자리 제공 등 ‘일석다조’의 효과가 있다”고 설명했다.
○ 숲 일자리 이제는 전문직, ‘산림행정 3.0’도 주목
신원섭 산림청장은 “한 가정의 가장이 잘되면 가족 전체가 화목해진다. 숲 역시 안정적이고 지속가능한 산림 일자리를 만들어 행복을 줄 수 있다”며 “산림행정 3.0으로 이를 실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산림청은 올해부터 5년간 7조7000억 원을 투입해 3만5000개의 일자리를 창출하겠다는 종합대책을 발표했다. 올 하반기에는 나무의사 등 수목진료 전문자격제의 법제화도 추진된다. 이에 따라 현재 25만5000개의 산림 분야 일자리는 29만 개로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일자리의 주요 내용은 △산림 탄소 전문가, 수목원 전문가, 나무의사 등 고급 일자리 1200개 △청장년을 위한 장기 전문 일자리 2800개 △임산물 재배·가공·유통업 분야 일자리 1만3000개 △목재산업단지 조성 지원과 소비 운동으로 6000개 △벌채·수집 전문인력, 임업 기계 조작원, 산림유전자원 수집·평가단 등으로 4300개 등이다. 이 밖에 산림 치유와 교육 분야 전문가(산림 치유 및 유아 숲 지도사)의 활동 영역도 넓어져 고용이 확대될 것으로 기대된다.
신 청장은 “산림은 국토의 64%를 차지하는 성장 잠재력이 큰 자원인 만큼 질 좋은 일자리를 지속적으로 개발하겠다”며 “이를 위해 ‘산림산업 고용촉진 및 인력양성에 관한 법률’을 제정하고 일자리 서비스 전담 조직도 만들 계획”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