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트렌드 생활정보 International edition 매체

심장병으로 진행… 사망률 男 1.6배 女 2.7배 ↑

입력 | 2013-08-26 03:00:00

[내 몸 안의 시한폭탄 대사증후군]<3>관상동맥 좁아지고 협심증 유발




복부비만은 심장에 매우 나쁜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적정 체중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30대 남성이 복부비만을 점검하기 위해 허리둘레를 측정하고 있다. 고려대 안암병원 제공

자영업자 양모 씨(52)는 당뇨로 4년간 치료를 받았다. 평소 생활도 불규칙하고 스트레스도 많이 받아 건강관리엔 소홀한 적이 많았다. 얼마 전부터 길을 걷거나 가파른 계단을 오를 때면 종아리에 통증을 느끼기 시작했다. 가슴이 답답하고 숨도 찼다.

이럴 땐 잠시 쉬면 증상이 사라졌다. 당뇨나 운동 부족이 원인이라고 생각하고 넘겨버렸지만 시간이 지나자 가슴통증이 점점 심해졌다. 양 씨는 결국 고려대 안암병원을 찾았다.

컴퓨터단층촬영(CT) 결과 ‘하지동맥의 심한 동맥경화로 인한 혈류장애’ 진단을 받았다. 양 씨는 담당 의사로부터 시술을 받은 뒤 흉통과 종아리통증에서 해방됐다. 그는 이후 규칙적으로 운동을 하고 술 담배도 자제하고 있다. 식사도 규칙적으로 하려고 노력한다.

양 씨가 앓는 고혈당은 대사증후군과 관련된 5가지 위험요소(고혈압, 고혈당, 고중성지방혈증, 저고밀도지단백 콜레스테롤혈증, 복부비만) 중 하나다. 전문가들은 이 위험요소들은 모두 심장병 위험을 높인다고 말한다. 양 씨의 담당 의사였던 임도선 심혈관센터 교수의 도움말로 대사증후군으로 인한 심장질환을 알아본다.

○ 심장병 위험 최고 2.7배 높여

대사증후군이 일으키는 여러 질병 중 대표적인 게 심장병이다. 한국대사증후군포럼의 발표에 따르면 대사증후군을 앓는 사람은 그렇지 않은 사람에 비해 심장병으로 사망할 위험이 남성은 1.6배, 여성은 2.7배 높아진다.

심장병과 대사증후군은 왜 관련이 있을까. 위험요소들이 관상동맥질환의 발병을 높이기 때문이다. 관상동맥은 온몸에 피를 보내는 심장에 혈류를 공급하는 동맥으로 좁아지거나 막히면 심장근육에 충분한 혈액이 공급되지 못해 협심증이 생긴다. 이런 현상이 지속되면 심장에 혈류공급이 막히면서 심장근육 조직과 세포가 괴사하는 병이 심근경색증이다.

협심증의 주요 증상은 흉통이다. 주로 가슴 중앙이나 왼쪽에서 시작돼 목이나 어깨 또는 왼쪽 팔 안쪽으로 퍼진다. 간혹 턱 밑이나 목구멍 등에도 통증이 생긴다. 가슴을 쥐어뜯는 것 같이 무겁고 답답하며 숨이 막히고 소화가 되지 않는 증상이 생긴다. 불안과 오한이 나타나거나 맥박이 고르지 않아 가슴이 울렁거리는 부정맥 증상이 나타나기도 한다.

초기에는 통증이 주로 운동할 때 발생한다. 2∼5분 이어지지만 안정을 취하면 좋아진다. 통증이 20∼30분 이상 지속되거나 잦아지고 안정될 때도 발생한다면 위험신호이므로 주의해야 한다. 협심증을 간과하다가 돌연사를 부를 수 있기 때문이다.

○ 조기진단과 치료, 예방이 살길


병원에서는 협심증이 의심되면 조영제를 이용해 심장의 관상동맥을 직접 찍어 혈관이 좁아진 위치와 정도를 알아내는 ‘관상동맥 조영술’을 실시한다. 협심증은 조기진단이 중요하기 때문에 큰 대학병원에선 이런 환자를 진료하기 위해 심장질환 전문센터를 두고 있다.

고려대 안암병원도 흉통 환자를 위한 초진클리닉을 두고 있다. 이곳에서는 환자가 찾아온 당일에 필요한 검사를 실시한다. 관상동맥 조영술이 필요한 환자는 당일 시술 뒤 퇴원하는 ‘심혈관 일일입원실’에서 협심증을 조기진단 받고 치료한다.

협심증 치료는 약물요법을 주로 하지만 혈관 내 염증으로 혈관이 좁아졌을 때는 ‘관상동맥 성형술’을 시행하기도 한다. 좁아진 관상동맥 부위에 작은 풍선이나 스텐트(금속 망사형 관)를 넣어 혈관을 확장시키는 방법이다.

협심증을 예방하려면 균형 잡힌 식사를 하는 게 기본이다. 임 교수는 “좋은 음식도 너무 자주 먹으면 안 좋다”며 “치우치지 않게 식사하되 야채와 단백질을 골고루 적절하게 먹어야 한다”고 말했다. 규칙적인 운동을 하고 담배를 끊는 것도 필수이다. 비만도 심장에 나쁜 영향을 미치므로 적정한 체중을 유지해야 하는 것은 기본이다.

운동을 하되 너무 심하게 하는 건 좋지 않다. 적절한 운동은 혈관을 이완시켜 혈압을 조절하는 효과가 있지만 극단으로 치달으면 반대 효과가 나기 때문이다. 체계화된 프로그램을 짜서 본인에게 맞는 운동을 하되 갑작스레 무리한 운동을 하는 건 피해야 한다.

임 교수는 “심장질환으로 인한 돌연사가 중장년층뿐만 아니라 20∼30대 젊은층에서도 자주 발생하고 있다”며 “심장 정밀검사를 통해 돌연사 위험을 사전에 예측하고 조기발견에 신경을 써야 한다”고 말했다.

이샘물 기자 evey@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