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트렌드 생활정보 International edition 매체

국난의 상징 131건 9756점… 국보 4건 모두 일본서 환수

입력 | 2013-09-11 03:00:00

[돌아온 우리 얼 환수문화재 이야기]<상>주요 문화재 어떤 게 있나




현재 해외에 있는 우리 문화재는 약 15만 점으로 파악되며 현재까지 1만 점 정도가 환수됐다. 위에서부터 강릉 한송사지 석조보살좌상과 녹유골호, 고대 그리스 청동 투구는 지정문화재가 됐다. 문화재청 제공

《 최근 한국 최초의 근대 지폐인 호조태환권(戶曹兌換券) 원판이 국내로 돌아온 데 이어 문정왕후 어보(御寶·의례용 인장) 환수도 진전을 보이는 것으로 알려지며 환수문화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소에 따르면 해외에 있는 우리 문화재는 대략 15만 점. 이 가운데 대한민국 정부수립 이후 고국 땅을 밟은 환수문화재는 131건(9756점)에 이른다. 국외소재문화재재단(이사장 안휘준)의 도움을 얻어 환수된 뒤 국보나 보물처럼 지정문화재에 오른 유물 중심으로 환수문화재의 역사를 3회에 걸쳐 짚어본다. 》

2010년 4월 국립고궁박물관에서 열린 특별전 ‘영친왕(1897∼1970) 일가 복식’은 예상보다 많은 사람이 몰려 화제였다. 고종의 일곱째 아들인 영친왕 이은 일가가 가례(嘉禮·혼례) 때 착용했던 의례복과 장신구다. 영친왕 일가 복식 및 장신구류가 유독 관심을 끈 데는 이 문화재가 어렵사리 한국으로 돌아왔다는 상징성이 크게 작용했다.

이들 문화재는 광복 뒤 일본에 머물던 영친왕비 이방자 여사가 소장하다 1957년 도쿄국립박물관으로 넘겼다. 지속적인 협상 끝에 1991년 한일 정상회담 합의로 되찾았고, 2009년 중요민속문화재 제265호로 지정됐다. 환수된 지정문화재 가운데 수량으론 가장 많은 333점이었다.

국외소재문화재재단이 최근 조사한 자료에 따르면 영친왕 유물처럼 환수문화재 131건 가운데 지정문화재가 된 경우는 모두 28건에 이른다. 건수로만 보면 전체 환수문화재의 약 21%다.

국보로 지정된 유물은 4건. 모두 일본에서 환수됐다. 1965년 한일협정이 맺어진 이듬해 들어온 국보 제124호 ‘강릉 한송사지 석조보살좌상’과 제125호 ‘녹유골호’, 1971년 환수된 제185호 ‘상지은니묘법연화경’, 2006년 큰 관심을 모았던 ‘조선왕조실록 오대산사고본’(제151-3호)이다.

1912년 일본으로 갔다 돌아온 한송사지 석조보살좌상은 고려 초인 10세기경 제작됐다. 한국의 석불상은 재료가 대부분 화강암인데 흰 대리석으로 만든 점이 특이하다. 몸체와 뚜껑에 녹색유약을 입혀 통일신라시대 때 제작된 녹유골호는 현재 전해지는 골호(骨壺·불교에서 시신을 화장한 뒤 유골을 매장하는 데 사용하는 뼈항아리) 가운데 가장 빼어나다고 평가받는다. 상지은니묘법연화경은 고려 공민왕 22년(1373년)에 제작된 법화경. 최영창 국외소재문화재재단 활용홍보실장은 “상지(橡紙·상수리 열매로 물들인 종이)에 은니(銀泥·은가루)로 옮겨 쓴 불경으로 보존 상태가 양호해 가치가 크다”고 말했다.

보물은 모두 18점. 이 중 시기적으로 가장 오래된 문화재는 기원전 6세기에 만들어진 ‘고대 그리스 청동 투구’다. 외국 유물이 보물로 지정된 유일한 경우이기도 하다. 한국 스포츠의 영웅 손기정(1912∼2002)이 1936년 독일 베를린올림픽 마라톤 우승 기념으로 받았으나 전달되지 못하다가 1986년에야 한국 땅을 밟았다. 고대 그리스 코린트에서 제작된 것으로 1875년에 발굴됐다.

안중근 유묵(遺墨·생전에 남긴 글씨나 그림)은 2점이 포함됐다. ‘일일부독서 구중생형극(一日不讀書 口中生荊棘·하루라도 책을 읽지 않으면 입안에 가시가 돋친다)’과 ‘용공난용 연포기재(庸工難用 連抱奇材·서투른 솜씨는 쓰기 어려우나 아름되는 나무는 뛰어난 재목이다)’는 지금도 그 뜻이 인구에 회자되는 서예작품이다.

등록문화재 제383호로 지정된 ‘미국 해병대원 버스비어 기증 태극기’는 6·25전쟁 참전용사인 A W 버스비어가 2005년 한국에 돌려준 문화재. 버스비어는 서울 수복 당시 한 시민이 건네준 것을 전쟁 기간 내내 군용트럭에 꽂고 다니다 미국에 가져갔다. 문화재청은 “일장기를 개조해 만든 것으로 추정되며 한국 근현대사의 고난이 깃든 소중한 사료”라고 설명했다.

최소한 보물급은 되지만 임대·대여 방식으로 환수된 탓에 지정문화재에 오르지 못한 문화재도 여럿이다. 2011년 프랑스에서 돌아온 ‘외규장각 의궤’는 당시 145년 만의 귀환으로 국민적 환대를 받았으나 5년마다 갱신되는 대여 방식으로 돌아왔다. 2005년 독일에서 환수한 ‘겸재 정선 화첩’은 영구 임대, 2007년 미국에서 온 ‘어재연 장군 수(帥)자기’도 10년 임대 신분이다.

정양환 기자 ray@donga.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