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종휘 전 대통령외교안보수석비서관(노태우 정부·사진)은 10일 본보와의 전화인터뷰에서 노태우 정부가 추진했던 북방외교(옛 소련을 비롯한 미수교 사회주의 국가와의 관계 정상화)의 특징에 대해 이같이 말했다. 13일은 1988년 한국이 동유럽 국가 중 처음으로 헝가리와 상주대표부 개설에 합의해 북방외교의 물꼬를 튼 지 25주년이 되는 날이다. 북방외교의 핵심에 있던 그는 “한-헝가리 수교에는 (나보다) 다른 분들의 공헌이 더 많았다”고 겸손해 했다. 그는 “북방외교는 전방위 외교망 구축, 경제영역 확장, 안보역량 강화, 남북관계 진전 등을 목표로 하되 한국 주도의 통일을 4강으로부터 지지받기 위해 계획됐던 것”이라고 설명했다.
김 전 수석은 노태우 정부 시절 외교안보보좌관(차관급)과 외교안보수석(장관급)을 잇달아 맡으며 5년 내내 청와대를 지켰다. 그는 한소 및 한중 수교, 남북 동시 유엔 가입, 남북기본합의서 및 한반도비핵화선언 채택 등을 주도했다. 그는 “6공화국 기간에 북한의 도발이 단 한 차례도 없었다. 북한이 소련이나 중국에서 첨단무기를 도입하지 못하도록 차단하는 북방외교의 실질적인 효과도 있었다”고 말했다. 실제로 유리 마슬류코프 당시 소련 부총리는 “지금 내 책상 위에는 북한의 T-80 전차 지원요청서가 있다. 한국과 수교가 되고 차관이 들어오면 전차를 포함해 북한에 대한 무기 공급을 중단하겠다”고 김 전 수석에게 말했고 이 약속은 지켜졌다. 그는 “당시 북한에 대해 이런 포위전략을 쓰면서도 남북대화에서는 유연한 태도를 견지했다”며 “‘남북 동시 유엔 가입은 분단의 공고화’라며 거부하던 연형묵 북한 총리를 직접 만나 논리로 설득했더니 결국 북한은 태도를 바꿨다”고 말했다.
조숭호 기자 shcho@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