팔도백성 모아 축성… 돌에 이름새겨 책임제로
낙산공원 일대의 한양도성 성곽. 성곽 돌에 글자를 새긴 ‘각자성돌’에는 축성 시기, 구간, 책임자 이름 등이 적혀 있어 축성의 비밀을 여는 열쇠가 된다. 아래는 남산 구역 반얀트리호텔 주차장 인근의 각자성돌(왼쪽 사진)과 낙산 구역(흥인지문∼동대문교회)의 각자성돌(오른쪽 사진). 서울시 제공
한양도성의 길이는 1만8627km. 70%인 1만2771km 구간이 원형을 간직하고 있고 사적 10호로 지정됐다. 도성을 처음 쌓은 것은 조선 태조 때. 1396년(태조 5년) 1월 9일∼2월 28일 백성 11만8070명을 불러들였다. 성터가 높고 험한 곳은 석성을, 평탄한 곳은 토성을 쌓았다.
성 둘레 5만9500척(尺)을 600척씩 97개 공구로 나누고 천자문 순서대로 일련번호를 매겨 책임을 맡겼다. 백악산을 기준으로 첫 글자인 천(天)자로 시작해 시계방향으로 돌아 97번째 글자 조(弔)자로 끝난다. 천(天)자부터 일(日)자까지(1∼9공구)는 동북면(평안도 황해도), 10∼17공구는 강원도, 18∼58공구는 경상도, 59∼73공구는 전라도, 74∼97공구는 서북면(함경도)이 맡았다.
공사는 철저하게 구간별 책임제로 진행됐다. 각 구간을 어느 지역에서 쌓았는지는 ‘각자성석’(성곽 돌에 축성 관련 글을 새겨 넣은 것)에 고스란히 남겨놓았다. 지금도 낙산 성곽길을 걷다 보면 음성, 황간, 영동 등 충청도 지명이, 낙산 정상에서 흥인지문(동대문) 사이에는 무안, 김제, 정읍 등 전라도 지명이 보인다.
임진왜란, 병자호란으로 파괴된 도성은 숙종 때 대대적으로 보수했다. 이번에는 백성 대신 도성을 지키는 5군영 군인들을 동원했다. 보수공사에 참여한 감독과 기술자의 실명은 성벽에 기록했다. 흥인지문 옆 동대문교회 바깥쪽 도성 벽에는 강희 45년(1706년) 4월에 개축했다는 설명과 함께 훈련도감 군관, 기술자인 석수들의 이름이 새겨져 있다.
서울 성곽길을 돌면서 이 구간은 어느 시대, 어느 지역 사람들이 쌓은 것인지 추측하는 것도 즐거움이다. 태조 때 축조된 성곽은 규격이 일정하지 않고 다양한 크기의 깬 돌을 사용했다. 세종 때는 아래쪽은 크고 위로 올라가면서 돌이 작아진다.
낙산 성곽길은 경사가 심하지 않아 비교적 쉽게 돌아볼 수 있다. 낙산 정상에는 낙산공원이 있고 동대문 역사문화공원, 대학로, 벽화로 유명한 이화마을 등도 가볼 수 있다. 혜화문 방향에서는 지하철 4호선 한성대입구역, 동대문 방향은 1·4호선 동대문역, 대학로 방향에선 4호선 혜화역에서 출발하면 된다.
김재영 기자 redfoot@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