尹외교 “과거사 치유 용기있게 나서라”
日외무 “수산물 禁輸 풀어라” 동문서답

윤병세 외교부 장관(왼쪽)이 26일 미국 뉴욕에서 열린 한일 외교장관 회담에서 마주 앉은 기시다 후미오 일본 외상(오른쪽)의 시선을 외면하고 있다. 외교부 제공
26일 뉴욕 맨해튼 인터콘티넨털호텔에서 열린 회담은 2018년 평창 겨울올림픽과 2020년 도쿄(東京) 여름올림픽의 성공적 개최를 기원하는 양국 장관의 덕담으로 시작했지만 회담장을 나서는 두 사람의 표정은 어두웠다. 윤 장관은 모두발언에서 “박근혜 대통령이 8·15 경축사에서 밝혔듯이 일본 정부가 과거 문제를 치유하려는 용기 있는 리더십을 발휘해 달라”고 촉구했다. 또 일제 강제 징용시설이던 미쓰비시(三菱) 나가사키(長崎) 조선소 등의 세계문화유산 등재를 재고하라고 촉구했다. 일본 우익단체의 반한 시위에 대해서도 일본 정부가 가시적인 조치를 취하라고 요구했다.
이에 대해 기시다 외상은 “아베 신조(安倍晋三) 내각도 역대 내각의 역사인식을 계승해 나간다는 입장에 변함이 없다”고만 언급했을 뿐 구체적 답변을 내놓지 않았다. 교도통신에 따르면 회담 직후 일본 언론과의 간담회에서 기시다 외상은 “1965년 한일청구권협정으로 강제 징용 피해자들의 법적인 문제는 해결됐다. 한국 대법원에서 일본의 패소가 확정되면 양국 관계는 더욱 악화될 것”이라며 기존 입장을 되풀이했다.
뉴욕=박현진 특파원·조숭호 기자 witness@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