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트렌드 생활정보 International edition 매체

“송전탑 민가 근접… 전자파로 암 위험” vs “과학적 근거 없어”

입력 | 2013-10-03 03:00:00

■ 밀양 갈등 무엇이 문제?




헬기로 자재 운반 한국전력공사가 경남 밀양 송전탑 공사를 재개한 2일 밀양시 단장면 바드리마을 84번 송전탑 공사현장에서 헬기가 공사장비와 자재를 실어 나르고 있다. 밀양=양회성 기자 yohan@donga.com

한국전력이 2일 대규모 공권력의 지원을 받아 경남 밀양시 송전선로 건설공사 재개를 강행한 것은 더는 공사를 늦추기 어렵다는 판단 때문이다.

한전은 2007년 11월 정부의 승인을 받아 부산 기장군 신고리 원전에서 경남 창녕군 북경남변전소까지 총 90.5km 구간에 송전탑 161기를 세우는 사업을 시작했다. 여름철 전력피크에 대비해 각각 내년 8월과 9월에 완공할 예정인 신고리 원전 3, 4호기에서 발전한 전기를 변전소로 보내는 설비다. 원전을 새로 지어도 송전선로가 없으면 전기를 각 가정과 공장으로 보내는 변전소로 옮길 수 없다.

밀양 송전선로 공사는 이 사업의 일부다. 밀양시 5개 면에 세우는 송전탑 69기 중 청도면에 들어서는 17기만 건설이 완료됐다. 나머지 4개 면(단장, 산외, 상동, 부북면)의 52기는 2008년 8월 첫 삽을 떴지만 아직 마치지 못했다. 신고리 원전 송전선로가 지나가는 기장군 등 다른 4개 시군이 건설을 끝내는 동안 밀양은 주민들의 반대로 공사가 11차례 중지됐다. 한전과 주민이 같은 수로 추천한 전문가협의체 등도 운영했지만 번번이 합의 도출에 실패했다.

밀양의 일부 주민은 전체 송전탑의 3분의 1이 밀양에 들어설 뿐만 아니라 다른 지역에 비해 민가와 농토에 가깝게 설계됐다며 거세게 반대해 왔다. 송전탑 반경 180m 이내에 민가가 20여 곳이 있다는 것이다. 이들은 “고압 송전탑이 집, 학교 주변, 논밭 바로 위로 지나간다”며 “전자파로 암이 발생할 수 있고 재산권 행사에도 어려움이 있다”고 주장해 왔다.

또 이번 사업으로 세우는 송전탑이 100m 높이로 기존 다른 송전탑에 비해 규모가 크다고 반발하고 있다. 보통 송전탑 높이는 50∼70m 규모다. 주민들은 밀양 송전선로를 건설하지 못하면 내년 여름 전력난이 빚어질 수 있다는 얘기도 과장됐다고 주장한다. 신고리 원전 3, 4호기의 발전 용량은 각각 140만 kW로 국내 전체 전력생산량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극히 작다는 것이다.

이에 대해 한전은 다른 주장을 펴고 있다. 송전선로가 지나가는 지역에서 밀양의 면적이 넓을 뿐 면적 대비 송전탑 수를 따지면 많은 편은 아니라고 반박한다. 민가와 농토에 가깝다는 주장에는 “지형이나 설계상 불가피한 일이었다”며 “일부 선로를 우회하도록 설계하는 등 최선을 다했다”고 설명했다. 전자파 피해에 대해선 “2007년 세계보건기구(WHO)에서 전자계 장기 노출 때 암이 진전된다는 생체작용은 밝혀지지 않았다고 발표했다”며 “과학적 근거가 없다”고 주장했다.

송전탑이 대형이라는 반발에 대해선 “고전압 송전선로를 놓다보니 송전탑이 커졌는데 송전탑 크기를 작게 했다면 송전탑 개수가 지금의 3, 4배로 늘어났을 것”이라고 밝혔다. 밀양 송전탑 건설이 시급하지 않다는 지적도 맞지 않는 얘기라고 반박했다. 여름 피크타임에는 100만 kW만 부족해도 순환단전, 블랙아웃(대정전)으로 갈 수 있다는 것이다.

김재철 숭실대 전기제어시스템공학부 교수는 “140만 kW급 원전 건설에 3조 원이 드는데 지어놓고 가동을 못한다면 국가적 낭비”라면서 “원전도 수명이 있다”고 설명했다. 김 교수는 “송전탑은 없어서는 안 될 시설이므로 한전과 반대 주민들이 원만한 합의에 이르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한전은 지난달 이례적으로 밀양시 5개 면 30개 마을 1800여 가구에 약 400만 원씩을 지급하는 ‘직접 보상’ 카드를 꺼내들었지만 환경, 반핵 단체들이 반대 시위에 가세하는 바람에 현재까지 견해차를 좁히지 못하고 있다. 한전 관계자는 “송전선로 건설에 8∼10개월이 걸려 지금 공사를 시작하더라도 원전 완공 시점에 맞추려면 빠듯하다”고 말했다.

홍수영 기자 gaea@donga.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