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형남 논설위원
새 정부 안보팀에 군 출신이 줄줄이 들어섰을 때 전문가들로부터 들었던 코멘트를 다시 들춰봤다. 김장수 국가안보실장과 박흥렬 대통령경호실장에 이어 국가정보원장까지 남재준 예비역 대장으로 채운 인사에 대한 평가와 분석이었다. 김관진 국방부 장관이 유임돼 안보팀은 육군 대장 일색이다.
먼저 긍정적인 평가가 있었다. 북한의 위협이 고조되는 상황에서 국가관이 확고한 군 출신을 선택한 데 대해 높은 점수를 준 전문가들이 많았다. 장성들은 기본적으로 전략 마인드를 갖춘 데다 육군 참모총장까지 지낸 인물이라면 이미 능력 검증이 된 것이라며 긍정적으로 평가한 전문가도 있었다.
현 안보팀은 특히 전작권 전환 재연기 추진으로 신뢰를 잃었다. 국방부는 지난주 서울에서 열린 한미안보협의회에서 양국이 전작권 전환 재연기 필요성에 공감하고 내년 상반기에 시기를 최종 결정하기로 했다고 발표했다. 김관진 장관이 1년 전 미 국방장관과 재확인했던 ‘2015년 전작권 전환’은 졸지에 휴지가 됐다.
전작권 전환은 노무현 전 대통령의 작품이지만 김장수 실장과 김 장관은 6년 전 각각 국방부 장관과 합참의장으로 ‘2012년 4월 17일 전환’을 확정한 실무 주역이다. 이명박 정부가 ‘2015년 12월 1일’로 연기하지 않았으면 전작권 전환은 이미 끝난 일이다. 이제 와서 재연기를 진두지휘하는 김 실장과 김 장관을 보는 국민의 심정은 편하지 않다.
국방부는 전작권 전환 재연기 이유로 북한의 3차 핵실험을 들었다. 그러나 북한은 최초 전작권 전환 시기 합의 4개월 전 1차 핵실험을 했다. 충격으로 치면 1차 핵실험은 3차에 비할 바가 아니다. 북핵에 대한 대비가 이유라면 그때 전작권 전환을 늦췄어야 한다.
차기 전투기 사업도 안보팀의 역량을 의심하게 한다. 국방부는 2007년부터 추진한 사업을 지난달 원점에서 재검토하기로 했다. 2020년 이후 30년 이상 영공을 방어해야 하는 전투기 확보를 놓고 갈팡질팡하는 군이 미래 대비를 잘하고 있다고 믿기는 어렵다.
방형남 논설위원 hnbhang@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