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트렌드 생활정보 International edition 매체

창업선도대학 3년차… 1425명 현장에서 ‘제3의 도약’

입력 | 2013-10-14 03:00:00


멘토와 함께 준비하는 창업 펑크가 나지 않는 타이어를 개발해 세 번째 창업을 준비하고 있는 황승덕 씨(오른쪽)와 그의 전담 멘토 이상규 전문위원이 8일 서울 서대문구 대신동 연세대 Y빌딩에서 타이어를 들고 대화를 나누고 있다. 이 전문위원은 황 씨에게 “기술의 완성도를 높여 초기 시장을 선점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자금이 부족하면 제조업체에 기술을 이전하는 방식도 고려해보라”고 조언했다. 원대연 기자 yeon72@donga.com

세종대 나노공학과 2학년을 마치고 휴학 중인 강민혁 씨(24)는 3년 전 ‘렙랩 프로젝트’를 접했다. 누구라도 3차원(3D) 프린터 제조기술을 배울 수 있도록 개방한 프로젝트였다. 그는 2011년 말 친구와 함께 국내 최초로 100만∼300만 원대의 보급형 3D 프린터를 개발했다.

기계를 만들 돈이 부족했던 그는 네이버에 커뮤니티를 만들어 제품을 공개하고 예약 주문을 받았다. 한 대에 약 80만 원씩 14명에게 기계를 만들어 팔았다. 그러나 사업을 키우려니 신경 써야 할 것이 너무 많았다. 감당하기 힘들 때쯤 지인의 추천을 받아 지난해 5월 동국대 창업선도대학 사업화 프로그램을 알게 됐고, 정부 지원금 2800만 원을 받았다. 영수증 처리, 세무, 회계 등도 도움을 받았고 수출박람회 정보도 얻었다.

지난해 11월 오픈크리에이터즈라는 정식 법인을 세운 그는 지금까지 총 5억5000만 원의 매출을 올렸다. 최근에는 성능을 향상시킨 ‘OCP 아몬드’라는 신제품도 출시했다. 직원은 11명으로 늘었다. 강 대표는 “‘세상 모든 사람에게 만드는 즐거움을 되찾아주자’란 회사 모토처럼 개인용 3D 프린터 시장을 키우겠다”고 말했다.

○ 3년차 맞은 창업선도대학


중소기업청이 2011년 시작한 창업선도대학이 3년차를 맞아 성과를 내기 시작했다. 창업선도대학은 기술·지식창업을 활성화하기 위해 대학을 창업 지원의 거점으로 정해 교육, 연구개발(R&D), 투자 등을 종합 지원하는 제도다. 2011년 15곳을 시작으로 현재 연세대, 동국대, 인덕대 등 전국에 18개 대학을 창업선도대학으로 지정했다.

창업선도대학은 대학생들에게 창업 관련 강의를 제공하고, 예비 창업자 또는 창업한 지 1년이 안 된 창업자를 대상으로 사업화를 돕는다. 이 프로그램에 참여하면 제조업은 최대 5000만 원, 지식서비스업은 최대 3500만 원을 받을 수 있고 각종 실무교육과 멘토링도 지원받는다. 이 중 사관학교식 창업선도대학 7곳은 사무공간과 전담 멘토도 제공한다.

창업선도대학의 사업화 프로그램은 9월까지 창업자 1425명을 배출했다. 특히 지난해에는 창업자 504명이 프로그램을 졸업할 때까지 수출 107억 원을 포함해 597억 원의 매출을 올렸다. 출원 또는 등록한 지식재산권의 수도 910개에 이른다.

사업화 프로그램을 거쳐간 창업기업들의 생존율도 높다. 지난해 중기청 조사 결과 창업선도대학을 졸업한 1년차 기업의 생존율은 90.5%, 2년차는 77.9%, 3년차는 71.1%였다. 일반 기업의 생존율인 1년차 84.4%, 2년차 67.0%, 3년차 54.6%에 비해 높았다.

○ “산학협력 통해 핵심기술 개발”

지난해 충북대 사업화 프로그램에 참여한 정철형 씨앤콤 대표(49)는 지난해 10억 원의 매출을 올렸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에서 약 15년간 근무한 그는 현재 LIG넥스원에 디지털신호처리 모듈, 티엘씨테크놀로지와 에프알텍 등에 이동통신 중계기 디지털 모듈을 납품하고 있다. 그는 “작년 매출의 20%가 충북대 산학협력을 통해 나왔다”고 말했다.

김애정 대표(35·여)는 2011년 남편, 대학 선후배들과 함께 생물농약을 생산하는 엠알이노베이션을 세웠다. 그는 “계명대 산학협력을 통해 벌레와 곰팡이를 동시에 제거할 수 있는 농약을 개발하고 있다”고 말했다.

온라인을 통해 디자인이나 번역 등 자신이 가진 재능을 사고팔 수 있는 재능 오픈마켓 ‘크몽’을 선보인 박권호(32), 박현호 대표(36)도 경남과학기술대 창업선도대학 출신이다. 싸게 인력을 조달하려는 중소기업이나 자영업자, 일감을 구하려는 프리랜서들을 연결해 지난해 1억5000만 원의 매출을 올린 크몽은 올해 매출 10억 원이 목표다.

○ “선도대학에서 제3의 도약 준비”

8일 찾은 연세대 창업선도대학에는 7개 팀이 사업 준비에 한창이었다. 현재 연세대 창업선도대학 내 기업 입주공간에는 45개 기업이 입주해 전담 멘토 6명의 도움을 받고 있다.

황승덕 씨(59)는 이곳에서 제3의 도약을 준비하고 있다. 그는 2006년 KT에서 명예퇴직한 뒤 2010년 펑크 나지 않는 타이어로 중국에서 사업을 하려 했으나 한 번은 사기를 당해, 한 번은 자금 부족으로 실패했다. 그는 “폐업하면서 실패자라는 낙인이 찍히기도 했지만 이대로 주저앉을 수 없다는 생각에 재창업을 준비하고 있다”며 “다음 달 신제품을 출시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연세대는 예비 창업자들을 위해 사업계획서 작성법, 투자유치전략, 마케팅 등의 강의를 진행하고 있다. 박지웅 패스트트랙아시아 대표, 표철민 위자드웍스 대표 등 벤처캐피털과 선배 스타트업 대표들이 강사로 나선다. 손홍규 연세대 창업지원단장은 “수업과 멘토링을 통해 실패를 줄이는 과정”이라고 설명했다.

중기청은 내년 창업선도대학 중 3곳을 연세대와 비슷한 사관학교형 선도대학으로 전환할 예정이다. 중기청 관계자는 “이미 창업을 한 기업보다는 창업을 준비하는 사람들에 대한 교육 기회를 확대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대거 도입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강유현 기자 yhkang@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