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 전문팀이 겹겹이 포장… 최저몸값 10억원 보험 들어
18일 오전 일본 야마나시 현 고후 시의 S사찰에서 정우택 동국대 교수(오른쪽)와 이소가이 다이데쓰 주지가 금선묘 아미타삼존도를 포장하기 직전 마지막으로 상태를 점검하고 있다. 공민왕 8년(1359년)에 제작됐다는 화기가 지난해 발견된 이 고려 불화는 1530년 이전 일본으로 건너갔으므로 근 500년 만에 귀환하는 셈이다. 고후=정양환 기자 ray@donga.com
17일 오후 3시 반경 일본 야마나시 현 고후 시의 S사찰. 정원에서 그토록 재잘거리던 까치들은 어느새 사라졌다. 주지 스님의 법문 암송이 끝나고 갑작스러운 적막이 법당을 휘감는 순간, 윙 하고 가림막이 올라갔다. 사진으로만 보던 ‘금선묘 아미타삼존도’가 드디어 모습을 드러냈다. 왠지 털끝이 쭈뼛 섰다.
18일 출발을 앞두고 이날 열린 법회는 사상 첫 ‘환송회’였다. 사찰 기록에 따르면 1530년 전후 고려 불화가 모셔진 뒤로 한 번도 절을 떠난 적이 없다. 그런 불화가 내일이면 한국으로 떠난다니 법당에는 수백 명이 몰려들었다. 한 할머니는 “수십 년 드나들었는데 이렇게 가까이서 본존을 뵈는 건 처음”이라며 들떠했다.
그런 불화가 해외로 간다니 법당 분위기는 밝지만은 않았다. 한 사찰 관계자는 “한국행을 반대하는 방문이나 전화가 끊이지 않았다”고 귀띔했다. 특히 올해 초 쓰시마 섬에서 도둑맞은 불상이 아직 반환되지 않은 게 걸림돌이 됐다.
하지만 이소가이 다이데쓰 주지는 “신뢰하지 않으면 한 발짝도 나아갈 수 없다”고 연신 되뇌었다. “인연의 지엄함을 믿습니다. 정우택 교수(동국대)가 본존의 정확한 기원을 밝힌 것도 다 이유가 있을 겁니다. 전시도 (내가) 먼저 ‘가져가라’고 했어요. 한국과 일본은 오랜 역사를 나눈 사이입니다. 잠깐 사이가 나빠도 떼려야 뗄 수 없는 관계예요.”
지난해 4월 600년 넘는 이 불화의 하단에서 희미하게 남아있던 화기(畵記)를 찾아낸 정우택 교수는 법회를 보며 무슨 생각을 했을까. 정 교수는 “부처님 인도 아래 아버지가 준 마지막 선물”이라고 회상했다. 화기를 발견했을 때 정 교수는 부친이 위독하다는 전갈을 받았다. 자료를 챙겨 서울에 돌아온 뒤 닷새 만에 부친은 세상을 떠났다고 한다.
뜻깊은 불화이니 이송 과정에도 심혈을 기울였다. 이송 비용만 2500만 원이 넘었다. 일본통운의 문화재 전문 수송팀을 불러 겹겹으로 포장했다. 18일 오전 현장에서 지켜본 과정은 정성 그 자체였다.
금선묘 아미타삼존도는 23일 서울에 도착할 예정이다.
24일 개막하는 동국대박물관 개관 50주년 특별전 ‘선선선(禪善線)-빛으로 나투신(모습을 드러내신) 부처’에서 볼 수 있다. 이 밖에도 특별전에서는 국내 개인 소장 조선 불화인 ‘1644년 치성광여래강림도’ ‘16세기 아미타대보살도’ ‘1581년 아미타삼존도’도 일반에 처음 공개된다.
11월 22일까지. 무료. 일요일 휴무. 02-2260-3722
고후=정양환 기자 ray@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