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트렌드 생활정보 International edition 매체

★ 땄지만… 일에 묻혀 친구도 건강도 잃고, 가족과도 멀어져

입력 | 2013-11-13 03:00:00

[新 여성시대]2부 전문직<11>‘기업의 별’ 임원




일러스트레이션 김수진 기자 soojin@donga.com

외국계 기업 여성 임원인 A 씨(55)는 10년 전 일만 생각하면 눈앞이 깜깜해진다. 정기검진차 찾은 병원에서 청천벽력과 같은 이야기를 들은 것이다.

“유방암입니다.”

그 순간 20여 년간의 회사 생활이 머릿속을 스쳐갔다. 대학 졸업 직후 23세에 사회생활을 시작한 그는 당시 남들보다 빨리 승진하는 재미에 회사를 다녔다. 야근을 밥 먹듯이 하면서 몸은 고되어도 이를 당연히 여겼다. 과장급 이상의 중간 관리자 이상은 대부분 남성이어서 그는 다른 직원들보다 더 주목받았고, A 씨 역시 이런 기대에 부응해야 한다는 생각이 강했다. 또 자신이 잘해야 후배 여성 직원들의 승진 길도 넓어진다는 강박관념이 있었다. 회사 측은 이런 A 씨를 높이 평가했다.

A 씨는 휴가를 쓰고 수술을 받았다. 회사에는 비밀로 했다. 건강에 이상이 있다는 사실이 알려지면 앞으로의 회사 생활에 지장을 받을 수 있어서다. 다행히 수술은 성공리에 끝났다. 1년간의 휴직 생활 끝에 다시 복직한 A 씨는 현재 일부러라도 시간을 내어서 운동하는 등 건강을 관리하고 있다. 그는 “하나를 가지면 하나를 내줘야 하는 건 당연하다고 생각했지만, 워낙 건강했기 때문에 가족과의 관계를 포기하게 될지언정 건강을 잃을 줄은 몰랐다”고 말했다.

여성 임원은 ‘별 중의 별’로 통한다.

국내 100대 기업 중 여성 임원은 불과 1.5%에 그친다. 이들은 승진으로 임원 타이틀을 거머쥐었지만 건강을 비롯해 가정생활, 인간관계, 마음의 여유 등 잃은 것도 적지 않다고 입을 모았다. 여성 임원들은 “여성의 사회 진출이 점점 늘어가고 있지만 후배 커리어 우먼들이 우리의 전철을 밟지 않았으면 한다”며 자신들의 경험을 털어놓았다.

○ “내가 설마 건강을 잃을 줄이야”

30대 후반에 대기업 임원이 된 B 씨(42·여)도 A 씨와 비슷한 경우다. 30대 중반에 대기업 부장으로 승진한 그는 강행군을 거듭했다. 기대에 부응하기 위해 미국에 출장을 가도 현지에서 업무만 보고 곧장 돌아오는 ‘1박 3일’ 출장을 마다하지 않았다.

회사의 문화 마케팅 기획을 맡았을 때다. 인천공항에서 밤 비행기로 출발해 미국 뉴욕에 도착하자마자 행사장으로 향했다. 행사와 리셉션 장소를 섭외하는 등 사전 답사를 하고, VIP들의 동선을 일일이 살펴야 했다. 당일 밤 비행기로 뉴욕에서 출발해 다음 날 인천공항에 도착했다. 한국에서의 일정도 빠듯해 곧장 돌아온 것. 목표를 세우면 오직 목표에만 집중하는 스타일로 매일 빡빡한 일정으로 업무를 처리했다.

그러던 어느 날 그는 한쪽 팔을 들 수가 없었다. 병원에 가 보니 목과 허리에 동시에 디스크가 왔다는 이야기를 들었다. B 씨는 “일에 몰입하면서 아드레날린이 솟구치다 보니 몸이 아픈지도 몰랐다”며 “바쁜 일이 끝나자 몸에서 탈진 신호를 보낸 것 같다”고 말했다.

전신마취에 3시간에 이르는 대수술을 받은 그는 “그만했길 다행”이라고 생각한다. 건강이 더 나빠지기 전에 건강을 챙길 수 있는 계기를 만들었기 때문이다. 그는 “일단 내가 살아야 일도 할 수 있다”며 “지금도 하루에 30분 이상은 헬스클럽에서 운동을 하는 동시에 물리 치료도 주기적으로 받고 있다”고 말했다.

○ 동료들의 마음을 잃다

여성은 원칙에 충실할 것이라는 기대에 부응하려 동료들에게 상처를 입혔다는 임원도 있었다. 여러 기업을 거치며 재무 담당 임원으로 승승장구하고 있는 C 씨는 2000년 중반 당시 몸담았던 기업의 매출액이 급감하자 직원들의 구조조정을 직접 해야 했다. ‘여성’이라면 원칙에 충실할 것이라는 주변의 기대에 부응해야 한다는 강박관념에 사로잡혔다.

노조나 직원들과 대화할 때 구조조정의 당위성을 전달했다. 함께 일한 사람을 내보낸다는 구조조정이 불러올 충격 등 정서적인 측면을 충분히 고려하지 않은 채 구조조정 사실을 ‘건조하게’ 전달한 것. 그는 “돌이켜 보면 ‘무엇을’ 하느냐보다 ‘어떻게’ 하느냐가 더 중요한데 코앞에 닥친 일 처리에만 급급하다 보니 하지 않거나 우회해서 해도 될 말을 굳이 하면서 상대에게 상처를 입혔던 것 같다”고 말했다.

40대 초반에 대기업 임원이 된 D 씨(43·여)도 “주변을 챙기고 돌아볼 기회가 없었다”고 말했다. 매사에 속도전을 중시했던 그답게 승진도 고속으로 했다. 팀에는 자신보다 나이가 많은 부하 직원이 절반 이상이었지만 그는 오히려 나이 많은 부하 직원은 물론이고 나이 적은 부하 직원에게도 늘 존댓말로 깍듯하게 대했다. 하지만 이게 오히려 거리감을 두는 요인으로 작용했다. 인간적으로 친해질 기회가 없었던 것이다.

그뿐만이 아니었다. 일처리가 늦은 직원에게 “왜 이렇게 안 하니”라고 다그친 적도 한두 번이 아니다. 자신의 기준으로는 당연히 마무리가 되어 있어야 했던 업무가 완료되지 않았을 때에는 동기 부여를 하기보다 짜증을 냈다. 그와 동시에 잘해도 칭찬에 인색했다. 업무 역량이 뛰어난 그가 상대의 업무 역량을 자신을 기준으로 판단해 생기는 문제였다. D 씨는 “직원들이 지시를 받아 어쩔 수 없이 하긴 했지만 기왕이면 ‘인간적인 신뢰를 바탕으로 스스로 동기를 부여받아 일하게 할걸’ 하는 후회가 든다”고 말했다.

○ 인생은 직선이 아닌데…

E 씨(49·여)는 개인적인 삶의 가치를 잃었다고 했다.

그는 커리어를 곡선이 아닌 직선으로 봤다고 했다. 쉬었다가 가거나(점선) 우회해서 가도(곡선) 결국은 자신이 원하는 목적지에 도달할 수 있는데, 커리어 자체를 직선으로 달려 무한 질주해야 하는 것으로 봤다는 뜻이다.

아이들이 어릴 때에는 회사에서도 자녀들을 위해 시간을 쓰는 데 인색했다. 자녀는 일을 봐주는 아주머니에게 맡겨 두고 평일에 퇴근해서는 잠을 청하기에 바빴다. 일을 잘해야 한다는 조급한 생각 때문에 가정을 포기하고 일에 매달렸다는 것이다.

자신과 비슷한 시기에 아이를 낳은 동료들이 1, 2년 정도 휴직한 뒤 복직해 일과 가정의 균형을 추구한 것과는 대조적이었다. 물론 동료들보다 빨리 임원이 됐지만 휴직을 쓰고 가정을 챙기면서도 임원이 된 사람이 있다. E 씨는 “좀 더 빨리 시작한다고 해서 크게 달라지는 것은 없다”며 “조급해하지 말고 개인적으로 중요하다고 여기는 가치를 택하는 게 낫다”고 말했다.

글로벌 컨설팅업체 임원인 F 씨(46·여)는 가정에 상대적으로 우선순위를 두면서 일을 했던 탓에 마음을 나눌 만한 친구들을 잃었다. 결혼을 하기 전에는 주말에 짬을 내 친구들을 만났지만 결혼 후 출산하면서 생활이 확 바뀌었다. 평일 저녁에는 야근을 하거나 고객사와의 저녁 식사 등으로 개인 시간을 내기 힘들었고, 퇴근해서도 아이들을 챙기기에 바빴다. 친구와의 관계는 늘 우선순위에서 처졌다. 회사에서도 업무가 끝난 뒤 동료와 시간을 보내느니 아이들과 시간을 보내는 데에 우선순위를 뒀다.

아이들이 어릴 때에는 ‘아이들이 크면 친구나 동료와의 관계가 복구되겠지’ 하는 생각을 막연하게 했지만, 아이들이 중학생이 되어 엄마 손이 상대적으로 덜 필요한 나이가 됐을 때에도 친구가 없기는 마찬가지였다. 그는 “남편과 나누지 못하는 회사 생활의 고충을 나눌 동료나 또래 친구들도 필요하다”며 “회사가 인생의 100%가 아닌 한, 마음을 나눌 사람을 만드는 것도 신경을 써야 하는데 그러지 못했다”고 말했다.

반대로 G 씨(53·여)처럼 결혼할 시기를 놓친 경우도 있다. 해외여행이 힘든 시절이었던 1980년대 홍콩 등지에서 1, 2개월간 일하면서 주위의 부러움을 샀다. 부모님은 “멋진 딸을 뒀다”는 칭찬을 들었다. 주5일제가 없던 시절, 외국계 기업이라 토요일은 쉬는 날이었지만 자진해서 근무를 했다.

하지만 30세를 넘자 상황이 달라졌다. 남들은 결혼해서 가정을 꾸렸다. 명문여대를 나온 터라 대학 동창들 대부분은 전문직 남편을 만나 중산층 생활을 했다. 반면 그는 매일 야근이었다. ‘프로’라는 자신감은 ‘루저’라는 좌절감으로 바뀌었다.

뒤늦게 맞선 시장에 뛰어들었지만, 마음에 드는 상대가 나오지 않았다. 흠집이 있는 사람을 만나 힘들게 사느니 혼자서 재미있게 사는 게 낫겠다고 판단한 그는 결국 아직도 결혼을 하지 않았다. 그는 “지금 생활도 만족하지 않는 건 아니지만, 만약 제때에 좋은 사람을 만날 수 있었더라면 지금 훨씬 더 행복한 생활을 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해 본다”고 말했다.

김유영 소비자경제부 기자 abc@donga.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