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트렌드 생활정보 International edition 매체

[광주/전남]댓잎 사이로… 선비정신, 바람돼 분다

입력 | 2013-11-15 03:00:00

국립광주박물관 ‘대숲에 부는 바람, 風竹’ 특별전




조선시대 3대 묵죽화가로 불리는 유덕장의 ‘묵죽도’. 국립광주박물관 제공

대나무 사이로 불어오는 댓바람과 댓잎의 사각거리는 소리가 들리는 듯하다. 강하지만 때로는 유연함으로 바람의 무게를 받아낸다. 허공을 찌르듯 꿋꿋이 뻗은 댓잎 끝에서 굳건한 기개가 번뜩인다. 어떤 시련에도 굽히지 않겠다는 선비 정신의 고갱이가 묻어나오는 그림. ‘풍죽도(風竹圖)’다.

국립광주박물관이 12일부터 ‘대숲에 부는 바람, 風竹’ 특별전을 열고 있다. 좀처럼 보기 힘든 조선시대 회화사 거장들의 작품과 도자기 등 150여 점이 한자리에 모였다. 미국 샌프란시스코 아시아미술관, 러시아 에르미타주 박물관에서 개최된 ‘한국미술 5천년전’, 호주 퀸즐랜드 미술관의 ‘조선왕조 명품전’, 독일 쾰른 동아시아박물관에서 열렸던 한국의 문화재전 등 굵직한 국외 전시에 출품되었던 명품들이다. 조현종 국립광주박물관장은 “때로는 고답적이고 진부한 테마로 인식된 대나무의 조형성과 상징성을 현대 관점에서 새롭게 해석하기 위해 이번 자리를 마련했다”고 말했다. 전시회는 내년 2월 2일까지 이어진다.

1부 ‘전통 미술의 대나무’에서는 대나무가 있는 공간, 마음속 대나무, 대나무 그리는 법, 바람과 대나무, 대나무와 도자기라는 다섯 가지 소주제로 전시품을 배열했다. 조선시대의 3대 묵죽화가로 불리는 이정, 유덕장, 신위의 묵죽도와 권돈인의 세한도를 만날 수 있다. 감각적인 묵죽도를 그린 정학교, 민영익, 윤용구, 허련의 작품과 이인문의 산수도 등이 전시된다. 보물 1168호 ‘청자상감 매화 대나무 학무늬 매병’과 국보 166호 ‘백자 철화 매화 대나무무늬 항아리’처럼 청화 안료로 그린 푸른 대나무와 철화 안료로 표현한 대나무가 들어간 도자기를 같이 놓아 한자리에서 비교할 수 있도록 했다.

2부 ‘현대 미술의 대나무’에는 한국화, 서양화, 사진, 판화·설치미술·미디어아트 등의 매체로 작업하는 33인의 작품이 전시된다. ‘2013 순천만 국제정원박람회’에서 세계 최초 물 위에 떠 있는 미술관인 ‘꿈의 다리’를 작업한 강익중 씨가 이번 특별전을 위해 ‘대나무 봄·여름·가을·겨울’을 출품했다.

3부 ‘대숲에 부는 바람’에서는 19세기 말에서 20세기 초 묵죽의 대가로 이름을 날린 김규진과 그로부터 사군자와 서예를 배워 현대의 조형으로 이끌어낸 고암 이응노의 작품을 함께 전시해 대나무 그림의 전통과 변화를 보여준다. 이태호 명지대 교수(한국회화사 전공)는 “한국 미술에 있어 대나무가 갖는 문화적, 예술적 의미를 연속적인 시각에서 이해할 수 있는 좋은 기회”라고 말했다.

국립광주박물관은 이번 특별전을 기념해 16일 오후 5시 박물관 교육관 대강당에서 음악회 ‘대숲으로의 여행’을 연다. 한국 전통음악을 바탕으로 창작과 재구성을 통해 국내외 무대에 신선한 반향을 일으키고 있는 그룹 ‘공명(共鳴)’이 진행한다. 대나무를 가지고 직접 악기를 만드는 퍼포먼스, 관객이 직접 악기를 연주하는 시간도 마련한다. 공연은 무료. 국립광주박물관 홈페이지 사전접수를 통해 선착순 입장할 수 있다. 문의 062-570-7043

정승호 기자 shjung@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