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하일기’로 대산문학상 번역상 최양희 前호주국립대 교수
박지원의 ‘열하일기’를 영역해 대산문학상(번역 부문)을 받게 된 최양희 전 호주국립대 교수. 그는 “현대문학작품의 번역도 중요하지만 번역에 품이 드는 고전 작품이 외면당해서는 안된다”라고 말했다. 최양희 씨 제공
최근 수상자를 발표한 대산문학상에서 박지원의 ‘열하일기’ 영역본(2010년·글로벌 오리엔탈 출판사)으로 번역 부문상을 받게 된 최양희 전 호주국립대 교수(81)는 팔순을 넘긴 지금까지 한국 문학 번역을 놓지 못하는 이유를 기자와의 통화에서 이렇게 설명했다.
국내 영문학자 1세대인 고 최재서 전 연세대 교수의 차녀로 1965년 호주국립대로 유학해 그곳에서 교수로 재직한 그는 ‘한중록’(1985년)과 ‘허난설헌시집’(2003년) 같은 고전문학 작품을 영역해 소개해 온 번역가다. 미국 코넬대 출판부에서 출간된 ‘허난설헌시집’ 영역본으로 2005년 한국문학번역상을 받았다.
“정조 때의 문체반정 영향으로 박지원은 ‘열하일기’를 중국 고문을 모방하지 않고 독창적 문체로 지었지요. 한국 고전문학 번역가로 유명한 캐나다 선교사 제임스 게일도 겨우 8쪽 번역한 뒤 ‘너무 어렵고 말의 뜻이 애매하다’며 포기했던 작품이에요. 게다가 여러 국역본 판본들의 내용과 의미 차이까지 일일이 확인하며 작업하느라 애를 많이 먹었지요.”
한자를 모르는 서양인 편집자에게 번역에 대한 자세한 조언을 듣기 어려웠던 탓에 인쇄 과정을 뺀 모든 작업이 그의 몫이었다. 이제 골치 아픈 번역일은 접고 여생을 즐겨도 될 법한 나이에 그런 고생을 자청하는 이유가 궁금했다.
“최근 확인해 봤더니 제가 번역한 ‘열하일기’가 영미권과 유럽 지역 도서관만 570곳, 그 외 지역의 도서관 392곳에 비치됐더군요. 외국의 한국학 연구자들에게 유용한 자료가 되리라 믿습니다. 저는 결국 한국을 세계에 알리는 가장 빠른 길은 역사적으로 인정받는 뛰어난 우리 문학 작품을 번역해 알리는 것이라고 믿습니다.”
최근 국내 문학 작품의 번역이 노벨문학상 수상을 의식해 현대 작가의 작품에 몰리는 세태에 대해서도 한마디 했다. “세계 독자들에게 호소할 수 있는 우리 현대문학 작품의 번역은 환영할 일이지요. 그렇다고 현대문학에 비해 번역에 많은 품이 드는 고전 작품이 외면당해서는 안 된다고 생각합니다.”
“수상 소식을 접한 한국에 계신 친지분들이 수상식에 꼭 가야겠다고 야단이세요. 호주 유학 이후 한 번도 뵙지 못한 분들도 계신데 그분들과 만날 생각에 시상식이 더욱 기다려집니다.”
우정렬 기자 passion@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