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트렌드 생활정보 International edition 매체

動線, 검색어, e메일… 구글은 다 보고 있다

입력 | 2013-11-20 03:00:00

안드로이드폰 사용자 정보 수집
美서버에 저장… ‘정보 주권’ 위협




중앙부처 공무원 박모 씨는 요즘 구글 검색과 G메일을 즐겨 쓴다. 자신이 속한 부처가 세종시로 옮겨간 뒤 일주일에 몇 번씩 서울을 오가는 박 씨는 이동하면서 스마트폰으로 자료나 e메일을 확인한다. 박 씨는 “공무원 메일 계정은 모바일 기기에서는 확인이 안 돼 G메일을 쓰는 경우가 많다”고 말했다.

구글은 한국인의 삶에 깊숙이 들어와 있다. 7월 말 현재 국내 스마트폰 중 91.7%인 약 3294만 대가 구글 안드로이드폰이다. 애플리케이션(앱·응용프로그램)만 내려받으려고 해도 구글 계정이 필요하기 때문에 안드로이드폰 이용자는 대부분 구글 계정을 갖고 있다.

하지만 구글이 한국인의 어떤 정보를 얼마나 갖고 있는지는 알려지지 않고 있다. 구글이 정보를 구글과 미국 정부만 접근할 수 있는 서버에 저장하기 때문이다. 한국 정부조차 구글이 정보를 어떻게 활용하는지 모른다. 이용자가 삭제를 요청해도 서버에서 지워졌는지 확인할 방법도 없다.

최근 세계를 뒤흔든 미국 국가안보국(NSA) 도·감청 파문을 계기로 정보의 생성, 유통, 저장, 활용까지 자국의 힘으로 해야 한다는 뜻의 ‘정보 주권’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애플이 2011년 아이폰 이용자의 위치 정보를 무단으로 수집해 문제가 된 적이 있지만 글로벌 스마트폰 운영체제(OS)와 검색점유율이 각각 80%에 이르는 구글과는 비교가 안 된다. 그런데도 기밀 정보를 다루는 공무원이나 기업 임원조차 별 생각 없이 구글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다. ‘구글 불감증’이라는 말이 나올 정도다.

기자의 계정을 확인한 결과 구글은 미처 생각지도 못한 많은 정보를 수집해 분석하고 있었다. 스마트폰의 위성위치확인시스템(GPS)을 꺼도 구글플러스나 페이스북 등 특정 앱을 실행하면 자동으로 GPS가 켜져 움직임이 실시간으로 추적됐다. 구글은 이동 패턴을 분석해 직장과 집주소까지 알아냈고, 검색창에 입력한 모든 단어와 방문한 웹페이지 기록을 빠짐없이 저장했다. 이렇게 민감한 정보들을 수집하고 있지만 약관 동의가 형식적으로 이뤄지기 때문에 이용자들은 자신의 어떤 정보가 수집돼 활용되는지 모르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김승주 고려대 정보보호대학원 교수는 “구글은 G메일 내용도 자동으로 검색해 분석하지만 이를 모르는 이용자가 많다”며 “정보가 곧 자원이고 권력인 시대에 정보 주권에 대한 인식 제고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임우선 imsun@donga.com·김호경 기자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