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승석 여해고전연구소장 밝혀
충남 보령시 미산면에 있는 박심의 묘소. 상석에 ‘조선국 영천 군수 박공심지묘’라고 적혀 있다. 박심은 영천 군수로 있을 때 빈민구제에 전력을 다해 칭송이 끊이지 않았다. 여해고전연구소 제공
벼슬에 뜻이 없어 평생 재야에서 위기지학(爲己之學·자기 수양을 닦는 학문)에 매진했다. 왕이 세자를 가르치는 서연관(書筵官)으로 명했으나 이마저 고사했다. 마지못해 잠시 지방관리를 지냈을 땐 ‘현세의 부자(夫子·공자)’라 칭송받았다.
이만한 인물이라면 한 번쯤 듣기라도 했을 터지만 지포 박심(芝浦 朴심·1652∼1707)이란 이름을 대면 웬만한 이들은 고개를 갸웃거릴 게 분명하다. 하지만 박심은 조선 양명학 계보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인물이다.
당대만 해도 박심은 여러 대가들이 주목했던 학자였다. 우암 송시열(1607∼1689)이 1676년 유배 갔을 때 박심은 귀양지까지 찾아가 스승으로 섬기길 청했다. 우암은 주위 눈도 꺼리지 않던 그를 “참으로 두려운 친구”라며 놀라워했다. 소론의 영수였던 윤증(1629∼1714)은 “그의 대성을 기대하는 마음이 짝사랑과 같아 부끄러울 지경”이라고 말했다.
박심의 학문은 남달랐다. 정제두의 ‘하곡집(霞谷集)’에는 박심에게 경전의 해석을 놓고 여러 차례 질문하는 대목이 나온다. 아쉽게도 박심의 글은 남은 게 없으나 ‘매옹한록(梅翁閑錄)’은 그가 저술하다가 아들 박양한(1677∼1746)이 마무리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박심은 암행어사로 백성들의 억울함을 풀어준 박문수(1691∼1756)의 종조부이기도 하다. 백성을 아끼는 마음은 이 집안의 전통이었을까. 박심은 홍천 현감(47세)과 영천 군수(54세)를 지내며 배곯는 주민이 없도록 전력을 다했다고 전해진다.
정양환 기자 ray@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