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전자 ‘갤러리 OLED TV’ 개발하다가…
LG전자 HE사업본부 TV상품기획담당 송시은 대리, 김현석 차장, 김영민 부장(왼쪽부터)이 ‘갤러리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TV’ 옆에서 포즈를 취하고 있다. LG전자 제공
이 TV는 9월 독일 가전전시회 IFA에서 처음 공개됐을 때 현지 전문가와 관람객들로부터 “가전업체들의 기존 화질, 베젤(테두리) 경쟁을 뛰어넘은 새로운 차원의 TV”라는 호평을 받았다.
갤러리 OLED TV 개발에 참여한 LG전자 TV상품기획팀의 김영민 부장(44), 김현석 차장(39), 송시은 대리(32)를 12일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동 트윈타워에서 만났다. 그들은 “평소 그림에는 전혀 관심이 없었는데 갤러리 OLED TV를 개발하며 안목을 넓히다 보니 어느새 미술관을 찾는 새 취미가 생겼다”며 활짝 웃었다.
55인치 TV 크기에 적합하고, 화질이 뛰어난 OLED TV의 장점을 극대화할 수 있는 그림을 고르는 것도 중요했다. 시장조사와 내부의 치열한 논쟁 끝에 결국 폴 고갱의 ‘아레아레아’, 르누아르의 ‘물랭 드 갈레트’, 구스타프 클림트의 ‘꽃이 있는 농장정원’ 등 10점을 선정했다.
액자 속의 명화와 같은 느낌을 주기 위해 디자인에도 각별히 신경을 썼다. 소비자들의 거실 인테리어와 어울리는 프레임을 놓고도 원목부터 금속 재질까지 고민에 고민을 거듭했다. 김 차장은 “아파트 주거문화가 일반적인 국내에서는 고전적인 것보다 단정하고 현대적인 스타일이 더 맞을 것이라고 판단해 금속 프레임으로 정했다”고 설명했다.
갤러리 OLED TV의 또 다른 특징은 대형 스피커가 만들어내는 고출력 사운드다. 이 TV의 스피커는 액자 뒷부분의 합판처럼 프레임을 꽉 채우는 얇은 평면으로 돼있어 앞에서 보면 화면을 감싸는 형태다. 송 대리는 “기존 TV 스피커는 주로 화면 밑이나 뒤에 있었는데 갤러리 OLED TV는 화면 전체에서 소리가 나 음향이 크게 업그레이드됐다”고 말했다.
스피커 때문에 디자인팀과 기술팀이 신경전을 벌이기도 했다. 고출력 스피커를 넣으려면 어느 정도 공간이 필요한데 디자인팀은 ‘고출력에도 슬림한 디자인’을 고집했던 것이다. 송 대리는 “결과적으로는 얇은 두께에 홈시어터 못지않은 사운드를 내는 제품이 나왔다”며 만족감을 나타냈다.
정지영 기자 jjy2011@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