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문명 오피니언팀장
이번 일이 잘 해결되면 새 정부가 내세웠던 다른 개혁 과제들에 대해서도 믿음이 생긴다는 거였다. 하지만 실패한다면 명분과 구호만 있지, 집행력은 없다는 불신이 자리 잡을 것이라는 우려였다. 그렇지 않아도 새 정부가 내세운 복지, 창조경제, 사회통합, 문화융성 등 국정목표에 대해 국민들은 어떤 개혁이 이뤄졌는지 아직 체감하지 못한다는 분위기다. 대표적으로 복지정책에 대한 신뢰도가 땅에 떨어진 느낌이다.
한 대학교수는 “최근 한 포럼에 참여했다가 진영 전 복지부 장관을 만났는데 ‘대통령을 면담하려고 비서실장에게 두 번이나 요청했는데 이뤄지지 못했다’는 말을 직접 들었다”면서 “만약 사실이라면 대통령과 장관 사이에도 소통이 안 되는데 과연 국민과 소통이 될 수 있을까”라고 말했다.
한 의사의 말이다. “어르신들께는 죄송한 말이지만 70대를 전면에 내세워 놓고 어떻게 국민 대다수와 소통하겠느냐. ‘노인 정치’를 하고 있다는 말이 괜히 나오고 있는 게 아니다. 50대 전후로 경험도 있고 안정된 젊은 연령대를 중용해야 한다”고 했다.
대통령에 대한 기대와 지지는 아직까지는 견고해 보인다. 한 중소기업인은 “역대 정권마다 문제가 됐던 가족 친인척 측근을 배제하고 깨끗한 정부를 이끌고 있다는 점에서 지지한다”면서 “문제는 경제”라고 못 박았다. 그의 말이다. “지금 서민 경기는 최악이다. 삼성, 현대차만 잘나가지 웅진, STX, 건설회사 등 망한 기업들도 많지 않으냐. 자영업자 절반이 폐업 상태다. 야당도 선거에서 졌으면 그만이지 대선불복 내세워봐야 상식을 가진 국민들은 동의하지 않는다. 그렇다고 야당 잘못이 여당과 정부에 변명의 사유가 되는 것은 아니다. 결국 힘을 가진 여당과 정부가 결과적인 책임을 지는 것이다.”
정치가 스트레스를 주지 않고 국민행복을 가져다줄지, 새해 다시 한 번 희망을 걸어본다.
허문명 오피니언팀장 angelhuh@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