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朴대통령 신년회견/국민과 소통]인적쇄신 논란 직접 차단
정홍원 국무총리와 장관들이 6일 박근혜 대통령의 신년 기자회견을 지켜보고 있다. 왼쪽부터 정 총리, 현오석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최문기 미래창조과학부 장관, 서남수 교육부 장관, 류길재 통일부 장관, 황교안 법무부 장관. 청와대사진기자단
박근혜 대통령은 6일 개각 가능성을 묻는 기자의 질문에 이렇게 답했다. 박 대통령은 “현재 개각은 전혀 고려하지 않고 있다”며 “집권 2년 차를 맞아 정말 할 일이 너무 많다. 내각은 흔들림 없이 맡은 바 업무에 전념할 때”라고 말했다.
여권 내에서 제기된 개각을 포함한 인적 쇄신 필요성에 대해 김기춘 대통령비서실장과 정홍원 국무총리가 “물갈이는 없다”고 밝힌 데 이어 대통령이 직접 나서 인적 쇄신 논란에 쐐기를 박은 것이다.
박 대통령은 청와대 비서진 개편에 대해서도 “같은 맥락에서 이해해 달라”고 말해 비서관급을 큰 폭으로 물갈이할 가능성을 부인했다.
국회의장 직속의 헌법개정자문위원회가 구성되면서 새해 벽두 다시 되살아난 개헌론과 관련해서도 반대 의견을 분명히 했다. 메가톤급 이슈인 개헌 논의가 한번 시작되면 블랙홀같이 모든 것을 빨아들여 할 일을 제대로 못한다는 것이 박 대통령의 기본 인식이다.
박 대통령은 “경제 회복의 불씨가 조금 살아나 여러 프로젝트를 갖고 경제를 제 궤도에 올려야 하는 시점에 (개헌론에) 빨려들면 불씨도 꺼지고 다시 살리기도 힘들다”고 말했다. 이어 “올해는 다른 생각 말고 우선 이 불씨를 살려 경제를 회복시키고 국민의 삶에 안정감과 편안함을 줘야 한다”고 했다.
이에 앞서 박 대통령은 대통령 선거 직전인 2012년 11월 “집권 후 4년 중임제와 국민의 생존권적 기본권 강화 등 여러 과제를 충분히 논의하고 국민적 공감대를 확보해 국민의 삶에 도움이 되는 개헌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한 달 뒤 동아일보 공약검증단에 보낸 답변서에선 “우리 사회가 직면한 일자리, 복지, 경제민주화 등 여러 현안을 슬기롭게 해결하는 데 주력한 뒤 적절한 시기를 가려 개헌 논의를 시작하겠다”고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