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朴대통령 신년회견/경제혁신 3개년 계획]경제에 국가역량 집중… 경제개발 5개년계획과 차이는
박근혜 대통령이 6일 신년 기자회견 도중 “업무가 끝난 뒤 무엇을 하는지 소개해 달라”는 채널A 기자의 질문을 받고 웃고 있다. 청와대사진기자단
○ “1인당 국민소득 3만 달러 넘어 4만 달러로”
3개년 계획은 대략 올해 상반기부터 2017년 상반기까지 추진된다. 현 정부의 남은 임기 중 새로운 정책에 드라이브를 걸 수 있는 기간을 3년으로 본 것이다. ‘3개년 계획’이라는 명칭과 관련해 조원동 대통령경제수석비서관은 “5개년 계획이라고 하면 현 정부 임기가 지나 버리고, 4개년 계획이라고 하면 어감이 좋지 않은 점도 고려했다”고 부연 설명했다.
이번 계획은 박 전 대통령이 추진한 경제개발 5개년 계획과 비슷한 면이 많다. 정부가 경제정책을 운영하면서 맞닥뜨린 한계를 돌파하기 위해 중단기 목표와 정책의 우선순위를 정해 속도를 내는 모습이 닮은꼴이다. 과거 경제기획원(EPB)이 5개년 계획을 주도한 것처럼 3개년 계획도 EPB의 후신인 기획재정부가 정책을 총괄한다.
차이점도 있다. 과거 5개년 계획은 중화학공업 육성과 수출 장려를 중심으로 한 산업정책이었지만 이번 경제혁신 3개년 계획은 경제 체질 개선과 서비스산업을 통한 내수 활성화에 방점이 찍혀 있다. 서비스산업에서 일자리가 늘어날 여지가 많기는 하지만 압축 성장이 가능했던 1960∼80년대의 중화학공업에 비해 경제성장 속도가 더딜 수밖에 없다. 게다가 이번 3개년 계획은 정부가 민간 기업을 특정 방향으로 이끌고 간다기보다는 기업 스스로 경쟁력을 높이도록 옆에서 지원하는 성격이 강하다. 이는 3개년 계획의 성과가 5개년 계획에 비해 금방 나타나기 힘든 구조라는 뜻이기도 하다.
○ “MB의 ‘7·4·7’ 못지않게 달성 쉽지 않아”
고용률의 경우 정부는 올해 일자리 45만 개를 창출해 65.2%의 고용률을 달성한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전문가들은 고용률을 3년 내에 고용률을 70%로 끌어올리려면 연간 60만 개씩의 일자리 창출이 필요할 것으로 추산한다.
경제 전문가들은 ‘3·4·7’ 달성이 쉽지 않은 만큼 수치에 연연하지 말고 다음 정부에서도 지속될 토대를 구축하는 게 중요하다고 조언했다. 조동근 명지대 경제학과 교수는 “개발도상국 시절 연간 8∼9%의 성장을 하던 한국의 성장률이 최근 급락한 상태”라며 “중간 단계 없이 저성장 구조가 고착화할 위기에 있는 만큼 경제의 체질을 바꾸는 작업을 계속 추진해야 한다”고 말했다.
○ 규제총량제 도입 등으로 내수 활성화
박 대통령은 이날 신년사에서 3개년 계획 추진 전략의 핵심인 내수 활성화와 관련해 “서비스산업이 가장 중요하고 이 산업을 살리려면 규제를 풀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투자 관련 규제를 백지상태에서 전면 재검토할 것이며 규제총량제를 도입하고 ‘규제개혁 장관회의’를 대통령이 직접 주재하겠다”고 강조했다.
세종=홍수용 legman@donga.com
문병기·이상훈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