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영우 교수 완간 ‘과거, 출세의 사다리’서 나타난 과거 급제자 데이터
조선 시대 1차 과거 시험인 초시(初試)는 8도의 인구 비율에 따라 합격자를 지역별로 배분했다. 하지만 2차시험인 복시(覆試)에서는 지역 구분 없이 실력으로만 급제자를 선발했다. 조선 시대 과거 응시장 풍경을 그린 그림. 동아일보DB
최근 완간된 한영우 서울대 명예교수(국사학·사진)의 ‘과거, 출세의 사다리’(지식산업사) 속에 답이 있다. 과거는 고종 31년(1894년) 갑오경장으로 폐지될 때까지 무려 503년 동안 이어져온 관리 선발제도였다. 그중에서도 핵심은 문과(文科)로 급제자는 모두 1만4615명이었다. 매년 평균 29명만이 이런 ‘가문의 영광’을 누릴 수 있었던 셈이다.
지역별로는 역시 도성인 한양 출신 합격자가 급제자 3명 중 1명꼴로 가장 많았다. 한양에서 치르는 과거 시험이 많아 지방 출신에게는 원천적으로 불리한 구조였다.
특이한 것은 평안도 출신 급제자 10명 중 무려 9.5명꼴로 ‘신분이 낮은’ 인물들이었다는 점. 여기서 신분이 낮다는 것은 오늘날 전해지는 족보에 급제자의 이름이나 가계에 대한 기록이 없거나 자기 씨족 중 유일한 급제자인 경우가 해당된다. 또 조선왕조실록에 신분이 ‘미천하다’ ‘비천하다’ ‘서출이다’는 기록이 있거나, 가까운 조상 중 벼슬아치가 없는 몰락 가문 출신도 포함된다.
이런 사정 때문에 평안도 출신은 급제 이후에도 실제 관직을 받는 비율이 8도 급제자 중 가장 낮았고 요직에 진출하는 경우도 드물었다. 한 교수는 “서북민 차별에 항거해 일어난 홍경래의 난도 상대적 박탈감, 즉 경제력도 있고 과거 급제자도 많은데 조정의 주요 직책에서 배제된 것에 대한 불만을 한 원인으로 해석할 수 있다”고 말했다.
사실 조선시대 문과 급제자 전체를 살펴보면 평균 3명 중 1명꼴로 신분이 낮았다. 전체 급제자 가운데 신분이 낮은 급제자의 비율은 건국 초기였던 15세기(태조∼성종)에는 32.9%로 비교적 높았다가 양반들의 기득권이 강해지는 16세기(연산군∼선조)와 17세기 중후반(광해군∼현종)에는 각각 18.7%와 19.8%로 낮아졌다.
반면 조선 후기로 접어드는 숙종∼정조 대에는 37.6%, 순조∼고종 대에는 55.1%로 급증하는 모습을 보였다. 신분 낮은 급제자의 비율은 조선 후기로 갈수록 높아져 조선 왕조 전체적으로는 V자 모양을 나타냈다.
우정렬 기자 passion@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