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홍원 국무총리가 6일 국회 대정부질문에서 “(윤 장관의) 해임을 건의할지 고민 중”이라고 답변한 이후 2시간여 만에 전격 해임이 이뤄진 것도 이 같은 공감대 때문에 가능했다. 더욱이 윤 장관은 정 총리가 국회 답변을 하기 이전에 이미 정 총리를 만나기 위해 세종시에서 서울로 출발했다. 정 총리의 해임 건의 이전에 박 대통령이 이미 해임을 결심했다고 짐작할 수 있는 대목이다.
박 대통령은 지난달 27일 수석비서관회의에서 “국민의 마음에 상처를 주는 발언을 하는 일이 재발할 시에는 (해당 공직자에게) 그 책임을 반드시 물을 것”이라고 경고했다. 당시 발언은 현오석 경제부총리를 겨냥한 것이었다. 이 때문에 청와대에서는 “윤 장관을 낙마시킨 건 현 부총리”라는 말도 나왔다.
게다가 야당이 윤 장관의 ‘설화(舌禍)’를 계기로 ‘전면 개각론’에 불을 지피는 상황에서 신속히 수습하지 않으면 신년 업무보고가 한창 진행 중인 내각이 다시 개각론에 흔들릴 수 있다는 우려도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정 총리도 “전면 개각할 이유가 없다”고 선을 그었다.
4개월 앞으로 다가온 6·4지방선거도 여권으로선 부담이다. 여권 내부에선 윤 장관 문제를 방치할 경우 여론의 악화는 걷잡을 수 없을 것이라는 위기감이 커져 갔다. 여권은 야당에 떠밀리기보다 윤 장관을 먼저 경질함으로써 국면 반전을 노렸다는 관측이 나온다.
윤 장관의 임명 당시 야당은 물론이고 여당 인사들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모래밭 속 진주”라며 윤 장관을 옹호했던 박 대통령에게는 또 다른 인사 실패 사례로 남게 됐다. 또 “당분간 개각은 없다”고 한 지 한 달여 만에 장관을 경질한 점, 여성 연구원 인사라는 박 대통령의 실험 인사가 실패로 끝난 점 등도 박 대통령의 부담이다.
윤 장관의 해임 소식에 새누리당 김태흠 원내대변인은 “민심을 겸허히 수용한 적절한 조치로 대통령의 공약인 책임총리제를 실천한 사례”라고 평가했다. 민주당 이윤석 수석대변인은 “만시지탄(晩時之歎)으로 이런 밀실인사, 땜질식 인사로는 현 난국을 극복할 수 없다”며 “현 부총리를 포함한 전면적 인사쇄신에 나서기를 바란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