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新 명인열전]광주 ‘초밥의 달인’ 안유성씨
광주 서구 농성동 일식집 ‘가매’를 운영하는 안유성 씨. 그는 그만의 비법으로 남도의 향이 밴 초밥을 만들어 ‘초밥 달인’이라는 명성을 얻었다. 그는 “음식을 통해 힐링하고 예술적 감흥도 얻는 복합문화센터를 만들고 싶다”고 말했다. 박영철 기자 skyblue@donga.com
광주 서구 농성동에서 일식집 ‘가매’를 운영하는 안유성 씨(43)는 ‘초밥의 달인’이다. 그는 4년 전 한 TV 프로그램에서 초밥 최강 달인 3인 중 한 명으로 뽑혔다. 한 명은 서울과 도쿄, 홍콩에서 일식집을 운영하는 일본인, 나머지 한 명은 서울 강남에서 활동하는 요리사다. 안 씨는 당시 벌교 참꼬막, 3년 된 묵은 김치, 나주 생고기 등으로 초밥을 만들어 선보였다. 심사위원들은 “남도의 향기가 듬뿍 담긴 초밥”이라고 극찬했다. 그는 지난해 4월 서울 서초구 양재동 aT센터에서 열린 ‘국제요리경연대회’에서 이른바 ‘남도식 초밥’으로 대상을 받기도 했다.
안 씨가 요리사의 길로 들어선 것은 어머니의 영향이 컸다. 안 씨의 어머니는 전남 나주에서 20년 가까이 ‘장수회관’이란 한식집을 운영했다. 어릴 적부터 음식의 매력에 푹 빠진 그는 고교 졸업 후 상경해 일식집에서 주방 보조 일을 하면서 요리를 배웠다. 그때 인생의 멘토이자 스승인 김영주 씨(63)를 만났다. 김 씨는 1980년대 신라호텔 일식당 주방장을 하면서 삼성그룹 고 이병철 회장을 모셨던 요리사였다.
최강 달인답게 안 씨가 만든 초밥은 맛과 모양, 무게가 기계로 찍어낸 듯 일정하다. 저녁용(15g)은 밥알이 320개, 점심용(18g)은 350개다. 안 씨는 “밥알 수는 거의 틀리지 않는다. 아마도 20년 내공 때문인 것 같다”며 웃었다.
그는 일본에서 배운 기술에다 스스로 터득한 비법을 접목해 그만의 초밥을 만들었다. 그가 가장 중요시하는 것은 밥과 재료가 조화를 이루도록 ‘궁합’을 맞추는 것이다. 초밥은 어느 한쪽의 맛이 강하지 않고 씹는 질감을 잘 살려야 한다. 전복과 학꽁치를 재료로 할 때는 비린 맛을 없애기 위해 망고나 생강을 넣는다. 방어나 참치 뱃살에는 단맛이 나는 하얀 대파를 잘게 썰어 넣는다. 생선의 숙성도 맛을 좌우하기 때문에 무척 신경을 쓴다. 광어는 다시마로 숙성을 시킨다. 다시마에 배어 있는 핵산 성분이 광어에 스며들면 감칠맛이 나기 때문이다.
새로운 초밥을 개발하는 데도 열성이다. 최근에 선보인 아귀간 초밥이 인기다. 흐물흐물한 아귀의 간을 소금으로 간한 뒤 쪄서 초밥으로 만들었는데 구수한 맛이 일품이다. 오이를 잘라 띠를 두른 매생이굴초밥도 색다른 맛이 난다. 지금까지 개발한 초밥은 100여 가지로 이 중 손님의 반응이 좋은 25가지를 상에 올린다.
그는 ‘대통령의 요리사’로도 유명하다. 17년 전 광주로 내려와 무등산관광호텔 조리장을 하던 시절 김대중 전 대통령이 광주에 머물 때는 직접 만든 초밥과 홍어, 굴비 요리를 대접했다. 김 전 대통령은 안 씨가 만든 초밥을 청와대까지 가져가 먹을 정도로 안 씨의 음식을 즐겼다. 이희호 여사도 그때 맛을 못 잊어 3년 전 ‘가매’를 찾았다. 그가 초밥과 짱뚱어탕을 대접하자 “너무 맛있다”며 그의 손을 잡았다.
20년 넘게 음식을 만들어 온 그에게 요리란 무엇일까. “2년 전 60대 중반의 단골손님이 암 투병 중에 초밥이 먹고 싶다며 가족과 함께 왔어요. 파리한 얼굴에 미소가 번지는 것을 보고 느꼈어요. ‘아! 음식 하나로도 누군가에게 행복감을 줄 수 있구나.’ 손끝의 감각보다는 마음으로 만드는 게 바로 요리 아닐까요.”
정승호 기자 shjung@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