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랄라! 누가 이렇게 흐벅지게 한상 차려놓았당가. 막걸리 안주상이 거나하다. 연둣빛 봄나물에 울긋불긋 온갖 안주가 차고 넘친다. 그대로 아지랑아지랑 ‘봄 들판’이요, 자글자글 차란차란 ‘봄 바다’이다. 봄이 그린 한 폭의 그림이요, 한 줌의 바람이 수놓은 풋바다라. 꽃안주, 꽃주막에 어깨춤이 들썩들썩, ‘꽃심 고을’(전주)의 꽃잔치는 이미 막걸리촌에서 시끌벅적하다.
‘꽃열매, 꽃안주를 먹고 나니 꽃마음 만발하여, 춤을 춰도 꽃춤이요, 노래해도 꽃노래라’(‘혼불’의 최명희 작가·1947∼1998)
사실 전주막걸리라고 뭐가 얼마나 다르겠는가. 그 막걸리가 ‘꽃 안주’와 한판 어우러져, 느닷없이 아쟁 소리처럼 ‘에∼앵♬ 에에∼엥♩♪’ 천길만길 낭떠러지로 곤두박질치듯, 가슴 철렁 속수무책으로 둥글고 담쑥하게 ‘앵겨 오는데…’ 아으, 다롱디리! 동동다리!
그 산수유 꽃그늘만큼이나 서늘하고 따사롭고 꼬스름하고 달큰시큼한 맛. 벗들과 동아줄처럼 질긴 그 맛에 어찔어찔 취해서, 되지도 않는 시시껄렁한 수다나 풀다가, 찧고 까불고 낄낄대며 끝내 ‘연분홍 치마가♬ 봄바람에♩ 휘날리더라♪’ 어쩌고 하며 ‘봄날은 속절없이 가버리는’ 것이다.
전주막걸리집들은 술값만 받는다. 안주는 아무리 먹어도 공짜다. 막걸리는 3통들이 첫 한 주전자 값이 2만 원. 두 번째 주전자부터는 1만5000∼1만7000원씩 받는다. 기본 안주는 보통 20가지가 넘는다. 한상 가득도 모자라 그릇 위에 그릇이 층을 이룬다. 여기에 막걸리 한 주전자씩 추가할 때마다 특별안주가 보태진다. 세 주전자쯤 마시면 마즙, 전복, 간장게장, 홍어삼합 같은 게 나온다. 무슨 안주가 또 나올까? 술꾼들은 안달한다. “에라, 모르겠다! 한 주전자 더!”
술꾼들은 보통 막걸리 찌꺼기(하얗게 가라앉은 부분)는 먹지 않는다. 윗부분의 ‘맑은 술’만 마신다. 너무 배불러 맛있는 안주를 먹을 수 없기 때문이다. 다음 날 숙취가 덜하기도 하다. 전주막걸리집은 이 골목 저 골목 돌담 아래 채송화 꽃처럼 쪼르르 구물구물 모여 있다. 삼천동 30여 곳, 서신동 15여 곳, 경원동, 평화동, 효자동 4∼7곳 등 모두 100곳이 넘는다.
주인장은 쉰아홉의 동갑내기 최명환, 장유자 씨 부부. 장 씨가 군복무 중인 최 씨에게 3년 동안 매달 50통씩 편지를 보내며 맺어진 ‘진한 인연’이다. 남편 최 씨가 사업하다가 폭삭 망했고, 그 이후 10년 동안 주막집 운영으로 자식들(1남 1녀)을 거뜬히 키워냈다. 부인 장 씨의 꿈은 가수였다. 지금도 기분 나면 김연숙의 ‘초연’을 절절, 먹먹하게 술청이 흐느끼듯 불러 젖힌다.
‘먼 산 부엉이 밤새워 울어대고/앞 냇물소리 가슴을 적실 때/나는 사랑이 무언 줄 알았네/그러나 당신은 나를 두고 어디 갔나/아∼아∼아∼ 그대를 기다리네/돌아와요 내게 돌아와요’
막걸리는 개구리만큼 입이 크다. 단숨에 “쭈욱∼” 소리 내어 마셔댄다. 짐짓 한두 방울 턱밑으로 흘리는 거야 ‘기본 애교’. 꿀∼꺽 크르륵! 목울대가 출렁거린다. 목젖이 아프다. 술은 둥글게 젖어오고, 시나브로 스며든다. 잔물결이 끊임없이 밀려왔다가 사라져간다. 어찔어찔 아득하다. 아으 더러둥셩! 위 증즐가 태평성대!
김화성 전문기자 mars@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