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헐벗은 북한 땅을 푸르게] [준비해야 하나 된다]<中>본보 후원 ‘아시아녹화기구’ 창립식
“푸른 한반도… 맑은 동북아” 19일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 국제회의장에서 열린 ‘아시아녹화기구(GAO)’ 창립기념 국제심포지엄에서 참석자들이 ‘푸른 한반도’ ‘맑은 동북아’란 손팻말을 들고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앞줄 왼쪽부터 유종하 전 외무부 장관, 유영숙 전 환경부 장관, 권병현 미래숲 대표, 이장무 기후변화센터 이사장, 고건 아시아녹화기구 발기인 대표(전 국무총리), 류길재 통일부 장관, 김진경 평양과학기술대 총장, 홍사덕 민족화해협력범국민협의회 상임의장, 이세중 평화의 숲 이사장, 유중근 대한적십자사 총재. 전영한 기자 scoopjyh@donga.com
○ ‘산림황폐화→식량·연료난→남벌’의 악순환
그동안 북한 나무심기는 다양한 국내외 단체에서 시도했지만 뚜렷한 성공을 보지 못했다. 나무를 심더라도 유지하기가 어려웠기 때문이다. 난방과 취사를 위해 나무를 베어내던 1970년대의 한국처럼 북한에서도 조림보다 벌채가 더 많이 이뤄지고 있다. 민둥산으로 인해 잦은 홍수와 산사태가 발생하자 식량 생산이 줄어들고 이 때문에 다락밭이라도 만들자며 나무를 또 베어내는 악순환이 계속돼왔다.
북한 김정은 노동당 제1비서는 2012년 4월 ‘국토관리에서의 혁명적 전환을 가져올 데에 대하여’라는 교시에서 환경 보호와 주민생활 개선을 위해 10년 내 산림녹화를 달성하라고 지시했다. 이처럼 북한 당국도 지금까지의 노력이 실패했다는 사실을 인정하고 10년을 목표로 산림 복구를 노력 중인 만큼 GAO의 계획에 화답할 가능성이 있다고 전문가들은 내다봤다.
○ “북한 산림복구는 남북 신뢰 구축의 계기 될 것”
홍사덕 민족화해협력범국민협의회(민화협) 상임의장도 “생명공동체인 한반도에서 북한의 산림 황폐화는 북한 문제가 아닌 한반도 전체의 과제”라고 말했다. 민화협은 남북 농업협력 차원에서 최근 ‘북한 비료 100만 포대 보내기’ 운동을 제안해 추진 중이다. 홍 의장은 “나무심기와 비료 보내기가 모두 성사된다면 지원 효과가 더욱 크게 늘어날 것”이라며 “북한 정부도 주민 생활 향상 차원에서 이에 적극 협력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창립식에 이어 열린 기념 심포지엄 참석자들도 GAO 계획을 환영했다. 루진룽 중국 런민대 교수는 “북한의 산림 황폐화는 사회주의 붕괴에 따른 에너지·경제 위기에서 초래된 복합적인 문제”라며 “식량과 연료림 대책이 반영된 임농복합영농으로 추진돼야 한다”고 말했다. 베른하르트 젤리거 독일 한스자이델재단 한국사무소 대표는 “당장 한국 정부가 직접 관여하기는 어려운 것이 현실인 만큼 국내외 민간단체들이 선도하면서 참여자를 늘려나가는 방식이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 아시아녹화기구가 만들어지기까지
GAO는 2009년 설립된 ‘북한산림녹화정책연구위원회’를 모태로 지난해 8월 중국 연변대에서 열린 ‘동북아시아지역 산림생태계 보호 및 복원 워크숍’(동아일보 후원)에서 태동했다. 당시 한중 전문가들이 만나 국제 협의의 토대를 만들었고 11월 고려대와 평양과학기술대, 북한 산림녹화사업을 펼쳐온 민간단체 ‘겨레의 숲’ ‘평화의 숲’ ‘미래숲’ 등 3곳이 업무협약을 맺었다. 이후 민간단체와 정관계, 지자체와 학계, 종교계, 기업체 대표 등이 합류해 발기인이 46명으로 늘었고 19일 GAO가 공식 출범해 1차 심포지엄을 연 것이다.
2차 심포지엄은 5월 평양과기대, 런민대, 국제기구 등이 참여한 가운데 평양에서 개최될 계획이다.
조숭호 기자 shcho@donga.com